"외국인 직접투자, 개도국 주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UNCTAD "세계 경제 회복 영향"
선진국은 올해부터 유입 늘 듯
선진국은 올해부터 유입 늘 듯
세계 경제 회복세로 인해 글로벌 투자 지형이 크게 변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24일 발행한 ‘세계무역보고서’에 따르면 급증하던 개발도상국으로의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올해부터 주춤해지는 반면 미국 등 선진국에 대한 투자는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해 전 세계 FDI는 1조4500억달러(약 1479조원)로 전년 대비 9% 늘었다. 올해는 1조6000억달러로 약 12.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급감했던 FDI가 급증세로 돌아선 것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회복세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선진국으로 유입된 FDI는 5660억달러로 전년보다 9% 늘었다. 이 기간 개도국으로의 FDI는 7780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개도국으로의 FDI 유입량은 전체의 53.6%. 옛 소련에 속했던 체제전환국까지 포함하면 유입 자금 비중은 60%에 가깝다. 이에 비해 선진국은 역대 최저인 39%에 그쳤다.
유엔은 그러나 올 들어 10여년 만에 선진국 FDI 유입액이 개도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의 장기 투자 수요가 미국 유럽 등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선진국으로 몰릴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유엔은 올해 선진국 FDI가 지난해보다 35% 증가하는 반면 개도국 FDI는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6년에는 전체 FDI의 52%가 선진국에 몰릴 것으로 관측했다.
20여년간 FDI 순유입국이었던 중국은 이르면 올해 FDI 순유출국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중국이 작년 해외에 투자한 자금은 1010억달러로 사상 처음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지난해 전 세계 FDI는 1조4500억달러(약 1479조원)로 전년 대비 9% 늘었다. 올해는 1조6000억달러로 약 12.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2년 급감했던 FDI가 급증세로 돌아선 것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회복세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선진국으로 유입된 FDI는 5660억달러로 전년보다 9% 늘었다. 이 기간 개도국으로의 FDI는 7780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개도국으로의 FDI 유입량은 전체의 53.6%. 옛 소련에 속했던 체제전환국까지 포함하면 유입 자금 비중은 60%에 가깝다. 이에 비해 선진국은 역대 최저인 39%에 그쳤다.
유엔은 그러나 올 들어 10여년 만에 선진국 FDI 유입액이 개도국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의 장기 투자 수요가 미국 유럽 등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선진국으로 몰릴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유엔은 올해 선진국 FDI가 지난해보다 35% 증가하는 반면 개도국 FDI는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6년에는 전체 FDI의 52%가 선진국에 몰릴 것으로 관측했다.
20여년간 FDI 순유입국이었던 중국은 이르면 올해 FDI 순유출국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중국이 작년 해외에 투자한 자금은 1010억달러로 사상 처음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