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차례 짐쌌다 유임된 정홍원 총리…'구관이 명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월호 참사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던 정홍원 총리가 후임 총리 후보의 연쇄낙마 속에서 2차례나 짐을 쌌다 풀었다 하는 우여곡절 끝에 26일 결국 '국정 2인자' 자리를 유지하게 됐다.
정 총리는 지난해 2월8일 당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던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박근혜정부 초대 총리로 지명됐고, 정부 출범 하루 뒤인 같은달 26일 임명돼 지금까지 총리직을 수행해왔다.
경남 하동 출신으로 성균관대 법정대를 졸업한 정 총리는 30년간 '특수통' 검사로 경력을 쌓았고, 공직을 떠난 후에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해왔다.
박 대통령과 인연이 닿은 것은 박 대통령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새누리당을 이끌던 2012년 초였다.
그해 4·11 총선의 공천위원장으로 발탁된 정 총리는 박 대통령을 도와 개혁공천을 주도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책임총리'에는 못 미친다는 지적 속에서도 특별한 대과없이 무난하게 총리직을 수행한다는 평가를 받아온 정 총리가 타격을 받은 것은 바로 세월호 참사였다.
300명이 넘는 인명피해를 낸 대형 참사가 터진 지난 4월16일은 바로 정 총리가 공교롭게도 중국과 파키스탄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날이었다.
정 총리는 귀국 도중 총리 전용기 기수를 서울공항이 아닌 전남 무안공항으로 돌리게 하고 곧바로 사고 현장을 찾는 등 수습활동에 집중했지만, 정부의 무능한 대응 및 수습 과정이 질타를 받으면서 입지가 좁아졌다.
특히 사고 당일 찾은 진도실내체육관에서 분노한 일부 실종자 가족들로부터 욕설과 '생수병 세례'를 받고 곧바로 자리를 뜬 것이나, 며칠 뒤 청와대로 올라가겠다는 일부 가족들이 경찰과 대치 중일 때 승용차 안에 몇시간 동안 앉아 있는 모습을 보인 것 등으로 본인에 향한 비난과 지적도 감수해야 했다.
결국 정 총리는 4월27일 참사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사의를 수용하면서도 후임 총리가 임명될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라는 박 대통령의 뜻에 따라 정 총리는 '시한부 총리'로 제한적인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안대희 전 대법관,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총리 후보로 지명됐지만 이들이 각각 전관예우, 역사인식 논란 끝에 자진사퇴하면서 정 총리는 어정쩡한 상태로 시한부 총리직을 계속 이어갔다.
그런 와중에 사의 표명 이후 60일 만인 이날 박 대통령의 사의 반려로 '시한부'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게 됐다.
정 총리가 이처럼 유임된 것은 후임 총리 후보의 연쇄 낙마 사태 이후 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만한 후보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국정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또 정 총리가 현 정부 초대 총리로서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데다 정부 출범 이후 1년4개월간 총리직을 수행해왔기에 국정과제 추진을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와 관련, "유임 결정의 기본 취지는 국정공백 최소화, 국정운영 효율화인데 이것을 두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며 "현실적으로 청문회가 열리기까지 당사자가 반론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없는 심적 괴로움 등을 생각하다 보니 많은 분들을 놓고 (적임자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좋은 분은 많지만 고사한 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이 정 총리의 유임을 결정한데는 정 총리가 사의 표명 이후 세월호 참사 현장에 자주 들러 사고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사고 초기에 비해 희생자 및 실종자 가족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주영 해수부장관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임하게 된 셈이다.
다만 정 총리는 문창극 전 후보자 낙마 이후 박 대통령으로부터 유임 권유를 받았지만 수차례 고사하다 전날인 25일 밤 결국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정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자신이 주재할 예정이던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오후 3시로 미룬 것으로 전해졌다.
정 총리는 사의가 반려된만큼 박 대통령의 '국가개조' 수준의 개혁작업에 공을 들일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유임 발표가 나온 직후인 이날 오전 10시2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총리실 1급이상 간부 전원을 소집해 회의를 열고 향후 국정 및 내각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정 총리는 지난해 2월8일 당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던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박근혜정부 초대 총리로 지명됐고, 정부 출범 하루 뒤인 같은달 26일 임명돼 지금까지 총리직을 수행해왔다.
경남 하동 출신으로 성균관대 법정대를 졸업한 정 총리는 30년간 '특수통' 검사로 경력을 쌓았고, 공직을 떠난 후에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해왔다.
박 대통령과 인연이 닿은 것은 박 대통령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새누리당을 이끌던 2012년 초였다.
그해 4·11 총선의 공천위원장으로 발탁된 정 총리는 박 대통령을 도와 개혁공천을 주도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책임총리'에는 못 미친다는 지적 속에서도 특별한 대과없이 무난하게 총리직을 수행한다는 평가를 받아온 정 총리가 타격을 받은 것은 바로 세월호 참사였다.
300명이 넘는 인명피해를 낸 대형 참사가 터진 지난 4월16일은 바로 정 총리가 공교롭게도 중국과 파키스탄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날이었다.
정 총리는 귀국 도중 총리 전용기 기수를 서울공항이 아닌 전남 무안공항으로 돌리게 하고 곧바로 사고 현장을 찾는 등 수습활동에 집중했지만, 정부의 무능한 대응 및 수습 과정이 질타를 받으면서 입지가 좁아졌다.
특히 사고 당일 찾은 진도실내체육관에서 분노한 일부 실종자 가족들로부터 욕설과 '생수병 세례'를 받고 곧바로 자리를 뜬 것이나, 며칠 뒤 청와대로 올라가겠다는 일부 가족들이 경찰과 대치 중일 때 승용차 안에 몇시간 동안 앉아 있는 모습을 보인 것 등으로 본인에 향한 비난과 지적도 감수해야 했다.
결국 정 총리는 4월27일 참사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하지만 사의를 수용하면서도 후임 총리가 임명될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라는 박 대통령의 뜻에 따라 정 총리는 '시한부 총리'로 제한적인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안대희 전 대법관,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총리 후보로 지명됐지만 이들이 각각 전관예우, 역사인식 논란 끝에 자진사퇴하면서 정 총리는 어정쩡한 상태로 시한부 총리직을 계속 이어갔다.
그런 와중에 사의 표명 이후 60일 만인 이날 박 대통령의 사의 반려로 '시한부'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게 됐다.
정 총리가 이처럼 유임된 것은 후임 총리 후보의 연쇄 낙마 사태 이후 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만한 후보를 찾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국정 공백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또 정 총리가 현 정부 초대 총리로서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데다 정부 출범 이후 1년4개월간 총리직을 수행해왔기에 국정과제 추진을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와 관련, "유임 결정의 기본 취지는 국정공백 최소화, 국정운영 효율화인데 이것을 두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며 "현실적으로 청문회가 열리기까지 당사자가 반론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없는 심적 괴로움 등을 생각하다 보니 많은 분들을 놓고 (적임자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좋은 분은 많지만 고사한 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이 정 총리의 유임을 결정한데는 정 총리가 사의 표명 이후 세월호 참사 현장에 자주 들러 사고 수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사고 초기에 비해 희생자 및 실종자 가족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주영 해수부장관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임하게 된 셈이다.
다만 정 총리는 문창극 전 후보자 낙마 이후 박 대통령으로부터 유임 권유를 받았지만 수차례 고사하다 전날인 25일 밤 결국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정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자신이 주재할 예정이던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오후 3시로 미룬 것으로 전해졌다.
정 총리는 사의가 반려된만큼 박 대통령의 '국가개조' 수준의 개혁작업에 공을 들일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유임 발표가 나온 직후인 이날 오전 10시2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총리실 1급이상 간부 전원을 소집해 회의를 열고 향후 국정 및 내각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