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부터 옆구리디스크 주의해야 하는 이유
서울 마포구에 사는 김모씨(65)는 최근 우측 다리가 저려 보행하기가 힘들다. 잠깐 쉬거나 누워있으면 아무런 증상이 없고 다만 우측 엉치가 조금 아팠는데, 최근에는 걷기만 하면 우측 종아리와 발목이 쑤시고 아프다. 급기야 수시로 다리가 저린다. 아픈 것은 참을 수 있겠는데, 시리고 저린 것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정형외과병원을 찾으니 ‘극외측 협착증’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일명 ‘옆구리디스크’다.

간단한 시술 후 바로 증상이 좋아져 이제는 통증 없이 마음껏 산보도 하고 등산도 할 수 있지만 과거 아프던 것을 생각하면 몸서리가 쳐진다.

의학의 발달로 인해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예전과는 다른 양상의 질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전에 허리 디스크가 허리 통증의 대표적인 질병이었다면, 최근에는 갈수록 척추관협착증이 늘어나는 추세다. 척추관협착증은 전형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늘어나면서 척추관 협착증의 변형된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극외측 협착증, 즉 옆구리 협착증으로 불리는 일종의 협착증이다.

옆구리 협착증은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의 연골이 닳아서 주저 앉으면서 짜부러진거나 연골이 바깥쪽의 덧자라서 신경을 눌러 생기는 협착증이다. 짜부라진 연골은 옆으로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면서 신경의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혈액 순환이 저하되면서 신경부위의 손상을 초래한다.

옆구리 협착증은 여러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허리뼈의 맨 마지만 부위인 요추 5번과 골반 뼈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5번과 천추의 연골, 골반 뼈에 주로 5번 신경이 끼게 되는데 이때 나타나는 증상은 골반 부위 통증과 함께 종아리가 터질 듯이 아프거나 발목이 쑤시는 통증이 나타난다. 통상 발바닥이 뜨겁거나 시린 것은 5번 신경의 감각 기능을 나타내는 부위의 신경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더 심해지게 되면 엄지발가락의 힘이 빠지거나 발목에 힘이 없어 절뚝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번 신경이 압박 받게 되면 엉덩이부터 무릎 앞면이 아프면서 종아리 안쪽이 아플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무릎을 구부려야 통증이 해소되고 무릎을 필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옆구리 협착증은 MRI(자기공명영상)에서도 확실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확진을 하기 위해서는 선택적 신경차단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5번 부위의 신경이 눌려있다면 그 부위를 부분 마취해서 통증이 사라지면 5번 부위의 신경이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치료는 많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만으로 가능할 수가 있다. 대표적인 보존적 치료로는 신경차단술을 사용해 치료한다. 신경차단술이 효과가 없는 경우 인체친화적인 신경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신경차단술은 신경의 염증을 일으키는 염증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 큰 어려움 없이 간단히 치료가 가능하다. 비교적 초기인 경우에는 염증을 제거하는 약을 투여하지만 증상이 심하고 약물투여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직접 신경부위의 염증을 제거하고 붓기를 빼주는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당일 시술과 퇴원이 가능하다.

최근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신경성형술이다. 과거에는 신경 차단술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신경차단술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나, 과거 수술이나 만성의 옆구리협착증 경우에는 신경성형술을 사용한다.

신경차단술을 보완 발전 시킨 치료법이 신경성형술인데, 꼬리뼈 쪽을 통해서 신경이 지나가는 주변에 국소마취를 한 뒤 1㎜ 정도의 카테터를 넣어 신경이 유착된 부분을 직접 긁어내거나 약물을 주사해 녹여내는 시술로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주변 조직과 들러붙은 신경도 떼어낼 수 있으며 아주 심하지 않은 통증은 1회 주사만으로도 통증이 충분히 완화될 수 있다. 시술 시간은 10~15분 내외이며 시술 당일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다. 시술 후에는 튀어나온 디스크 조각이 인체의 치료과정을 통해 흡수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녹아 없어지게 된다. 치료후에도 정상적인 치료 조직으로 되기 때문에 가장 인체친화적인 치료방법이다.

하지만 신경성형술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 할 수 없고 다리 쪽으로 내려오는 신경이 눌려 다리에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는 신경감압술과 신경유합술을 시행안다. 환자가 체력적으로 약하고 동반질환을 갖기 쉬운 고령인 점을 감안, 수술부담을 줄인 미세현미경감압술을 일반적으로 시행 한다.

보통 부위마취로 진행하며, 절개부위도 작아 1.5~2Cm 정도 미세절개로 수술이 가능하다. 상처가 작아 회복이 빠르고 수혈 필요성이 없으며, 부위마취로 진행해 전신마취에 대한 부담감도 없으므로 동반질환을 가진 고령 환자들도 좀 더 편안하게 효과적으로 맞춤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도움말=신규철 제일정형외과병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