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전선 일반전초(GOP) 총기난사 사건 유족들은 26일 "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밝혀지고 책임있는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장례식을 무기한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유가족 대책위원회를 구성한 유족들은 오후 5시 30분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 국군수도병원 장례식장 주차장에서 발표한 대국민 호소문에서 "이렇게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야속하지만 억울한 죽음이 더 이상 생겨나서는 안 된다"고 장례 연기 이유를 설명했다.

유족들은 "사건 처리와 관련해서 보여준 국방부와 군의 모습을 보며 슬픔을 넘어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시작한 호소문에서 군 당국을 상대로 희생자들의 사인과 이번 사건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또 "군 당국의 무책임하고 안일한 병영관리를 보면서 임 병장에게도 연민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며 "군 당국의 태만으로 죽어간 우리 아들뿐만 아니라 임 병장 역시 지키고 보듬어야 할 자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들의 장례식을 무기한 연기한 부모의 마음을 헤아려 주시고 함께 해주시기를 국민과 시민사회단체에 호소한다"며 호소문 발표를 마무리했다.

유족들은 오후 3시 45분께부터 1시간 30분가량 김관진 국방장관과 면담을 가진 직후 기자회견을 열었다.

숨진 이모 상병의 유족은 국방장관과 면담에 대해 "유족 대표들이 요구 사항을 전달했지만 만족할만한 대답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요구 사항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세월호 참사 후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안전처 신설 등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으나 이번 사건을 보면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숨진 조카(이 상병)의 부검때 참관해보니 목부위 동맥 하나가 끊어졌을 뿐이었다.

지혈만 제대로 했으면 살렸을 것이다.

자살을 기도해 관통상을 입고 부상이 더 심했던 임 병장은 살렸다.

이는 군 당국이 응급조치보다 현장조치에 중점을 뒀기 때문"이라고 분노했다.

유족들은 앞서 김관진 국방장관이 전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집단 따돌림이 군에 존재한다"고 한 발언과 사건을 일으킨 임 병장의 메모 비공개를 국방부가 유족 탓으로 돌린 데 반발, 오전 장례절차를 전격 중단하고 장관 면담을 요구했다.

희생 장병 5명의 합동영결식은 27일 육군 제22보병사단장으로 엄수될 예정이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