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총저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ww.tesat.or.kr
문제
가처분소득이 4000, 소비가 3500, 정부 구매가 1000, 조세 수입은 800인 경우 총저축은 얼마인가?
(1) 300 (2) 500 (3) 700 (4) 1000 (5) 1300
해설
총저축은 민간저축과 정부저축의 합이다. 민간저축(private saving)은 가처분소득에서 소비 지출한 뒤 남은 금액이다. 가처분소득은 가계소득에서 세금을 빼서 구한다. 정부저축(public saving)은 정부가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조세 수입에서 정부 지출을 뺀 금액이다. 조세 수입보다 정부 지출이 많으면 재정이 흑자가 되는데 이 흑자가 정부저축이다. 반대로 정부가 세금으로 거둬들인 돈보다 많은 금액을 지출하면 재정적자가 발생하고 정부저축은 마이너스가 된다. 지문에서 민간저축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4000에서 소비 3500을 뺀 500이다. 정부저축은 조세수입 800에서 정부 지출(구매) 1000을 빼면 -200이 된다. 따라서 총저축은 민간저축 500과 정부저축 -200의 합인 300이다.
정답 (1)
가처분소득이 4000, 소비가 3500, 정부 구매가 1000, 조세 수입은 800인 경우 총저축은 얼마인가?
(1) 300 (2) 500 (3) 700 (4) 1000 (5) 1300
해설
총저축은 민간저축과 정부저축의 합이다. 민간저축(private saving)은 가처분소득에서 소비 지출한 뒤 남은 금액이다. 가처분소득은 가계소득에서 세금을 빼서 구한다. 정부저축(public saving)은 정부가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조세 수입에서 정부 지출을 뺀 금액이다. 조세 수입보다 정부 지출이 많으면 재정이 흑자가 되는데 이 흑자가 정부저축이다. 반대로 정부가 세금으로 거둬들인 돈보다 많은 금액을 지출하면 재정적자가 발생하고 정부저축은 마이너스가 된다. 지문에서 민간저축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4000에서 소비 3500을 뺀 500이다. 정부저축은 조세수입 800에서 정부 지출(구매) 1000을 빼면 -200이 된다. 따라서 총저축은 민간저축 500과 정부저축 -200의 합인 300이다.
정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