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30일께 쌀 관세화 여부에 대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등 일부 농민단체가 반발 기류를 보이며 집단 행동에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전농은 28일 서울 을지로에서 시청까지 3보1배 행진을 한 뒤 청계광장에서 집회를 열어 쌀시장 전면개방 반대와 정부발표 중단, 국회 사전동의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또 이날부터 30일까지 광화문 열린시민공원에서 노숙농성에 들어가는 데 이어 다음 달 7일 필리핀 쌀협상에 참여한 농민단체 대표 등이 참석하는 쌀 관세화 국제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8월까지 농촌지역을 돌며 농민들에게 반대입장을 설명하는 일정도 잡혀 있다.

박형대 전농 정책위원장은 "국회가 쌀 협상 결과가 나온 뒤 비준동의하는 것은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며 "국회와 정부, 농민단체가 참여하는 3자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 등은 쌀 관세화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내비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준봉 한농연 회장은 "쌀 시장 개방에 찬성하지 않지만 불가피하다고 본다"며 "정부에 쌀시장 보호대책을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광천 한농연 대외협력실장은 "쌀 소비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MMA 물량이 더 늘어나면 감당할 능력이 없다"며 "쌀농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전제로 관세화할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농연은 전농이 개최하는 집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분위기도 엇갈리고 있다.

연합뉴스가 최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위원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체로 여당은 찬성, 야당은 반대 입장을 보였으나 최규성 의원의 경우 '찬성 소신'을 밝혔다.

최 의원은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센터에서 열린 '농촌여름휴가 페스티벌'에서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MMA 물량을 늘리지 않고 현 상황을 유지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거듭 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세종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bschar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