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 필요성’ 발언을 계기로 두 은행의 통합논의는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일부에서는 연말까지 통합이 완료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가장 큰 걸림돌은 “조기통합은 2·17 합의서를 깨는 행위”라고 주장하는 외환은행 노조의 반발이다. 외환은행 노조는 3일 열린 김 회장의 기자간담회장 앞에서 ‘합의 위반 하나금융 각성하라’는 등의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이어 성명서를 내고 “김 회장의 발언은 ‘2·17 합의서’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오는 12일 서울역 앞에서 전국 외환은행 노조원이 참석하는 집회를 열고 조기 통합 반대를 주장할 계획이다.

노조가 거론하는 ‘2·17 합의서’는 2012년 2월17일 하나금융지주 회장과 외환은행 노조위원장, 외환은행장이 5년간 외환은행 독립경영 보장 등에 합의한 것을 말한다. 노조는 이를 근거로 2017년까지 통합논의를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외환은행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통합 논의를 진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상당수 외환은행 직원들은 통합만이 수익성을 회복하는 길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하나금융의 발걸음을 빠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수익성 악화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왜 통합을 하지 않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말까지 통합을 완료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돈다”고 덧붙였다. 이런 예측이 가시화되면 하나금융은 외환은행을 인수한 지 3년 만에 통합은행을 출범시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우공 하나금융 부사장은 이와 관련해 “두 은행 체제로 너무 오래 있다 보니 합병의 시너지 효과가 지연된다는 우려가 많다”며 “외환은행은 규모에 비해 너무 비용을 많이 지출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시너지를 위해서라도 통합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