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단독·연립주택·아파트) 평균 가격의 5분위 배율은 4.9로 집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KB국민은행이 이 조사를 시작한(2008년 12월) 이후 6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뜻이다.
2008년 12월 8.4로 시작한 5분위 배율은 2009년∼2013년 같은 달 기준으로 8.2→7.3→6.0→5.4→5.1로 하강 곡선을 그렸다.
올해 들어서는 3월에 5.0으로 하락, 3개월간 이를 유지하다 지난달 0.1포인트 하락하며 최저점을 찍었다.
지난달 전국 5분위(상위 20%) 주택 가격은 평균 5억1824만원으로 5년 전인 2009년 6월(5억5951만원)과 비교하면 4127만원 하락했다.
1분위(하위 20%) 주택 가격은 평균 1억490만원으로 5년 전(6682만원)보다 3808만원 올랐다.
고가 주택값이 5년 동안 7.4% 떨어진 사이 저가 주택값은 57.0%나 뛰어오르며 가격 격차를 좁힌 것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5분위 주택값은 0.1%(67만원) 오르는데 그쳤지만 1분위 주택값은 5.0%(497만원) 상승하며 격차를 키웠다.
이 같은 추세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부산·인천·대전 등 일부 지방광역시가 이끌었다.
서울의 주택값 5분위 배율은 지난달 4.3으로 작년 같은 달과 같았다.
1분위 가격은 2억1775만원으로 1년 사이 337만원(1.6%) 올랐고, 5분위 가격은 9억3212만원으로 33만원(0.00%) 상승하는데 그쳤다.
경기도의 5분위 배율은 3.6으로 지난해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1분위 가격이 1억3532만원으로 501만원(3.8%) 오르는 동안 5분위 가격은 4억8370만원으로 0.4%(212만원) 내렸다.
인천도 5분위 배율이 지난해보다 0.1포인트 하락해 3.4를 기록했다.
1분위(1억317만원)가 2.1% 상승했고 5분위(3억3천195만원)는 0.7% 하락했다.
지방 광역시 가운데서는 부산의 5분위 배율이 4.2로 작년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대전(3.6)과 울산(3.4)도 각각 0.2포인트, 0.5포인트씩 떨어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