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학원 일조권 승소 이끌어
5년간 파기환송만 30여건
![서울 반포동 법무법인 민주 사무실에서 정병훈 대표변호사(왼쪽 네 번째)와 소속 변호사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동헌 기자 dhchung@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407/AA.8920423.1.jpg)
22일 서울 반포동 법무법인 민주 사무실에서 만난 정병훈 대표변호사(54·사법연수원 28기)는 “높은 기업 이해도를 바탕으로 철저한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제공해왔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양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교보생명, 메리츠증권에서 수년간 근무한 정 대표는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하나은행 법무팀장으로 2년 반 근무했다. 이후 2001년 개인사무실(민주법률사무소)을 개업한 뒤 2004년 법무법인 민주를 출범시켰다.
정 대표는 “당시 법조인으로서는 드물게 금융권 업무를 두루 경험한 덕에 금융권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 관련 사건을 수임할 수 있었다”며 “수익이 날 때마다 유보하지 않고 새로운 인재 영입에 과감히 투자해 왔다”고 말했다. 그 결과 민주는 출범 13년 만에 투자금융·공정거래·부동산·건설·일반 회사법 자문·M&A 등 분야를 섭렵하고 변호사 32명과 외국 변호사 4명이 소속된 중견 규모의 로펌으로 성장했다.
정 대표는 “하나은행, 신한은행, 농협 등 대부분 시중은행을 비롯해 SK증권, 한화손해보험 등 금융회사가 고객”이라며 “정유·건설 분야의 대기업들도 꾸준히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사건을 맡기는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자는 의식을 구성원 전체가 공유하고 있다”며 “브릿지증권 출신의 백화명 변호사, 삼성전자와 국민은행에서 근무한 문병규 변호사 등 기업 출신 변호사들도 경쟁력을 보탰다”고 설명했다.
별산제가 아닌 대표변호사를 중심으로 한 분배 구조를 구축한 탓에 구성원 간 유기적 협업이 잘 이뤄지는 것도 강점이다. 상호 토론 속에 법리 검토가 꼼꼼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소송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왔다는 것이다. 2009년부터 5년간 받아낸 대법원 파기환송 판결만 30여건에 달한다.
최근에는 건설사를 상대로 한 일조·조망권·도시계획 분야 송무 및 자문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주포’인 이승태 변호사는 단국학원이 서울 대치동 래미안대치청실 아파트 조합원을 상대로 한 일조권 소송에서 층수를 제한하는 공사금지 가처분을 이끌어내고 보상 협상을 타결해 주목받았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