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 Stay] 경남 꽃새미마을, '허브 천국'서 비누 만들고 허브백숙 냠냠
경남 밀양시 초동면 봉황리의 꽃새미마을은 맑은 계곡과 숲을 동시에 만날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방문객들은 야생화와 허브 등을 마을 어느 곳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 이 마을 이름도 ‘꽃이 사계절 내내 샘처럼 피어난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허브 체험’ 다양하네

2003년 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꽃새미마을은 관람객들이 단순히 자연을 보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과 한몸이 될 수 있는 곳이다. 마을 주위를 태백산맥의 끝자락인 종남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봉황의 날개를 치는 형상의 봉황저수지가 마을 앞에서 항상 푸른 자태를 자랑하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이 많아 피서철에는 여름 나들이 코스로 제격이다. 산책로 탐방, 뗏목타기, 물고기 잡기, 물놀이 등 살아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이곳은 30여가구 80여명이 2005년부터 농촌 관광을 본격화했다. 우선 단감 따기나 옥수수 따기, 고구마 캐기 등 농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체험행사로 출발했다. 허브와 된장, 장아찌, 막걸리, 손두부 등 전통 먹거리를 활용한 체험 등으로 확장했다. 이 덕택에 지난해 마을을 찾은 사람은 6만여명. 손정태 마을 대표는 “소원돌탑축제와 정월대보름행사 등으로 볼거리가 풍부해진 데다 삼성화재 부산지점, 유성정밀 등과 자매결연을 맺어 방문자가 크게 느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마을의 대표적인 체험활동은 허브체험. ‘달바위’라 이름 붙여진 멋스러운 바위를 지나면서 허브체험이 시작된다. 허브는 관상용이 아니다. 누구나 직접 만져보고 맛볼 수 있다. 농장 곳곳에 심어 놓은 허브는 차뿐만 아니라 삼겹살을 구워먹거나 쌈밥을 먹을 때도 이용된다. 허브의 독특하고 다양한 맛을 방문객이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인장의 배려다.

허브의 종류가 워낙 많다보니 각각의 허브와 어울리는 음식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삼겹살용으로는 쌉쌀한 맛을 내는 할련화가 제격이라는 게 주인장의 설명이다. 체험 참가자는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허브쌈을 맘껏 맛볼 수 있다.

농산물 수확체험도 방문객들에게 인기 코스다. 농장 곳곳에 심어놓은 다양한 허브를 이용해 허브비누 만들기와 양초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도 가능하다. 농장에는 체험공간도 마련돼 있다. 전통방식으로 지어놓은 황토집에서 민박을 할 수도 있다. 숙박요금은 방크기에 따라 5만~10만원 선. 레일바이크 시설도 갖추고 있다. 10여m에 불과하지만 페달을 밟으면 레일 위를 미끄러지듯 굴러가 어린이들에게 인기다.

농산물과 특산물도 자랑거리다. 허브 외에도 벼와 단감, 야생화 등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다. 마을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이용해 손두부 만들기, 일곱 가지 무지개 짱아지 만들기 체험도 가능하다. 특산물도 판매한다.

이 마을은 200여종의 허브와 야생화를 심어 허브 관련 체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허브상품도 개발했다. 단감을 이용한 감식초, 허브새싹 비빔밥, 허브백숙 등 허브향이 가득한 음식들을 개발했다. 마을에서는 맑은 계곡물과 환경을 이용해 미나리를 특산물로 개발 중이다. 2년 전부터 미나리를 생산해 체험활동과 함께 관련 음식을 선보이고 있다.

○소원돌탑 가볼까

꽃새미마을의 옛 이름은 방하동. 밀성 손씨와 경주 이씨 일파가 살다가 평산 신씨 일파가 들어와 함께 살고 있다. 제비가 복을 물어다 준다고 해서 붙여진 연복골, 종남산에서 뻗어 나오는 능선이 용의 등처럼 생겼다 하여 불려진 용대등, 옛날부터 아이를 가지고자 많은 사람들이 찾았다는 대왕바위 등을 찾는 사람이 많다.

밀양으로 넘어가는 방동고개에는 소원돌탑이 눈에 띈다. 지방관리를 채용하는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방동고개를 넘어가면서 산짐승이나 산적으로부터 피해를 막기 위한 염원을 담아 조그마한 돌멩이를 쌓아 만든 것이다. 이제는 소원을 비는 탑이 됐다. 등산과 산책코스로 찾을 만하다.

꽃새미마을 인근에는 가볼 만한 곳도 많다. 옛날 선조들이 농경생활에 사용하던 1000여점의 농기구와 생활도구를 전시한 미리벌 민속박물관, 임진왜란 때 큰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 사명대사가 태어난 생가지와 유품을 전시한 박물관도 있다.

마을에서 초동면을 거슬러 무안면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표충비를 모셔놓은 표충비각공원을 만난다. 밀양의 얼음골과 무봉사 태극나비, 만어사 어산불영경석과 함께 밀양의 4대 신비로 불리는 표충비는 임진왜란 때 국난을 극복한 사명당의 높은 뜻을 새긴 비석이다. 국란 때마다 비면이 땀을 흘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영남루 앞에선 ‘신라의 달밤’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대중가요 3000여곳을 작곡한 박시춘 선생의 옛 집도 만나볼 수 있다. 재약산(해발 1108m) 사자평 억새도 ‘밀양의 가을’을 맛볼 수 있는 필수코스. 바람결에 이리저리 춤추는 억새의 물결이 장관인 사자평은 영남알프스의 한 봉우리인 재약산 정상 동남쪽에 위치한 대평원이다.

신라 흥덕왕 4년(829년)에 흥덕왕의 셋째 왕자가 병을 얻어 전국 방방곡곡의 명산과 약수를 찾아 두루 헤매다 이곳 영정약수를 마시고 병이 나았다고 전해진다. 마을에서 8㎞ 거리에 있는 부곡온천도 빼놓을 수 없는 코스다.

[Farm Stay] 경남 꽃새미마을, '허브 천국'서 비누 만들고 허브백숙 냠냠
■ 찾아가는 길

서울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오다 영산IC에서 빠져나가면 된다. 차를 20여분 몰아 창녕, 초동면 범평을 거쳐 신월다리를 건너면 마을에 도착한다. 남밀양IC에서 나와도 된다. (055)-391-3825 또는 010-3841-1761 홈페이지(www.kkotsaemi.go2vil.org)

밀양=김덕용 기자 kim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