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신한은행의 독주가 두드러진다. 올 상반기 유일하게 조 단위 영업이익을 올렸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매출액 7조6700억 원, 영업익 1조400억 원을 기록했다.

경쟁 은행들의 2~3배 영업익을 내 독보적 1위가 굳어지는 추세다.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이른바 ‘4강 체제’가 무너지는 조짐으로 보인다는 관측도 있다.

같은 기간 국민은행의 매출액은 8조1800억 원으로 신한은행보다 많았으나 영업익은 6700억 원에 그쳤다. 하나은행도 매출액은 신한은행과 비슷한 7조4300억 원을 잠정 신고했지만, 영업익은 절반 수준인 5700억 원에 불과했다. 외환은행도 5조2400억 원 매출에 영업익은 4000억 원으로, 하나·외환 두 은행의 영업익을 합쳐도 신한은행에 뒤졌다. 아직 상반기 실적을 집계하지 못한 우리은행은 1분기에 4조3100억 원 매출액에 4300억 원의 영업익을 냈다.

신한은행은 다른 은행과 달리 꾸준히 양호한 영업익을 내고 있다는 게 은행권의 평가다.

신한은행은 올 들어 매출액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1조5000억 원(16.3%)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익은 오히려 1900억 원(22.3%) 늘었다. 상반기 1인당 영업익은 7114만 원, 점포 1개당 영업익은 11억6000만 원에 달했다.

이 같은 최근 신한은행의 독주는 철저한 수익지향적 영업 문화에 안정적 지배구조가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일각에선 신한은행이 일정 부분 은행의 손실 분담이 불가피한 기업 구조조정에서 발을 빼거나 우량 여신만 취급하려는 등 ‘보신주의’ 영업 방식을 보인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