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저리고 엉치뼈 시큰거린다면 척추관협착증 가능성 높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통 척추질환이라고 하면 그 증상으로 허리의 통증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척추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 중에는 허리보다 다리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허벅지와 종아리는 물론 엉치뼈가 시큰거리는 느낌을 받는 환자들도 많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보다 다리의 통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척추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퇴행성 척추질환으로써,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즉, 관절이나 인대가 퇴행상 변화를 겪으며 두꺼워지고 불필요한 가시뼈들이 자라나 신경을 누르는데 이것이 통증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박창현 세바른병원 강남점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이 발병할 경우 약간만 걸어도 다리가 당기고 아파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를 간헐적 파행이라 일컫는데, 다리 쪽으로 뻗어나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잘 알려져 있는 허리디스크에 비해 다소 생소한 병명이다. 하지만 60대 이상에서는 허리디스크만큼이나 자주 나타나는 척추질환이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허리보다 하반신의 통증이 심하고, 종아리가 쉽게 붓고 당긴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기존의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었지만 현재는 그 가운데 단계인 비수술 치료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즉,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에 호전이 없는 환자에게 수술 대신 시술을 시행함으로써 척추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없애주는 것이다.
경막외 내시경레이저시술은 부분마취만으로도 가능한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법이다. 우선 꼬리뼈를 통해 내시경과 레이저 연결이 가능한 관(카테터)을 삽입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통증이 나타난 부위를 정확히 찾고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 부종, 유착 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내시경은 CT나 MRI로도 확인이 어려운 병증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요통을 앓고 있거나, 기존에 허리디스크로 수술을 받았지만 통증이 사라지지 않은 환자들에게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레이저의 이용은 염증 제거 범위를 종전보다 늘렸다는 평을 얻고 있다.
시술 시간은 30분 내외로 짧고, 국소마취 후 피부 절개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당뇨나 고혈압 같은 전신질환을 앓고 있어도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시술을 받은 뒤 별도의 입원이 필요 없이 당일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어,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간병인을 두기가 여의치 않은 환자들도 큰 부담 없이 시술을 받고 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보다 다리의 통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척추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퇴행성 척추질환으로써,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즉, 관절이나 인대가 퇴행상 변화를 겪으며 두꺼워지고 불필요한 가시뼈들이 자라나 신경을 누르는데 이것이 통증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박창현 세바른병원 강남점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이 발병할 경우 약간만 걸어도 다리가 당기고 아파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를 간헐적 파행이라 일컫는데, 다리 쪽으로 뻗어나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잘 알려져 있는 허리디스크에 비해 다소 생소한 병명이다. 하지만 60대 이상에서는 허리디스크만큼이나 자주 나타나는 척추질환이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허리보다 하반신의 통증이 심하고, 종아리가 쉽게 붓고 당긴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기존의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었지만 현재는 그 가운데 단계인 비수술 치료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즉,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에 호전이 없는 환자에게 수술 대신 시술을 시행함으로써 척추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없애주는 것이다.
경막외 내시경레이저시술은 부분마취만으로도 가능한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법이다. 우선 꼬리뼈를 통해 내시경과 레이저 연결이 가능한 관(카테터)을 삽입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통증이 나타난 부위를 정확히 찾고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 부종, 유착 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내시경은 CT나 MRI로도 확인이 어려운 병증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요통을 앓고 있거나, 기존에 허리디스크로 수술을 받았지만 통증이 사라지지 않은 환자들에게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레이저의 이용은 염증 제거 범위를 종전보다 늘렸다는 평을 얻고 있다.
시술 시간은 30분 내외로 짧고, 국소마취 후 피부 절개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당뇨나 고혈압 같은 전신질환을 앓고 있어도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시술을 받은 뒤 별도의 입원이 필요 없이 당일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어,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간병인을 두기가 여의치 않은 환자들도 큰 부담 없이 시술을 받고 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