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수첩] 억대 트럭 '입소문' 듣고 산다? … 가격 쉬쉬하는 수입 상용차업계
[ 최유리 기자 ] "신차 외에 전체 모델에 대한 가격 공개 여부는 내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다임러트럭 관계자)

"각 모델과 사양별 가격 공개는 곤란하다." (만트럭 관계자)

지난해 가격 담합 혐의로 과징금 폭탄을 맞은 수입 상용차 업체들이 몸을 사리고 있다. 차량 가격 공개를 꺼리며 경쟁업체들 눈치 보기에 바쁘다. 공정한 가격 책정과 정보 공개를 위해 내려진 과징금 처분 이후 그 투명성이 오히려 탁해진 형국이다.

가격이 모습을 감춘 것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철퇴 이후다. 공정위는 지난해 7월 가격을 담합한 6개 국내외 상용차 업체들에 총 1160억 원의 과징금을 부여했다. 상용차 업체가 가격과 판매 실적을 언론에 공개하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튼 시점이기도 하다.

공정위 처분 이후 처음으로 신차를 내놨던 스카니아코리아의 기자간담회에서도 달라진 분위기를 느낄수 있었다. 당시 이 회사는 기자들의 강력한 요구가 이어지고 나서야 신차 가격을 공개했다. 그나마 가격 공개 모델도 카고 트럭으로 제한했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모델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상용차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선 사실 가격을 담합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 라며 "어디까지가 정보 공유인지 모호하기 때문에 가격 공개를 꺼리는 게 사실"이라고 귀띔했다.

가격 정보에 어두운 것은 기자뿐 만이 아니다. 소비자들이 가격을 알 수 있는 방법도 제한적이다.

차량 관련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는 수입 상용차 업체 홈페이지엔 가격만 쏙 빠져있다. 일부 업체 카탈로그에는 할부 제도에 대한 안내만 있을 뿐 가격 정보를 찾아볼 수 없다. 모델과 편의 사양별로 가격을 명시한 현대트럭 등 국산 상용차회사 홈페이지와 다른 모습이다. 소비자들이 직접 개별 딜러를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한다는 얘기다.

카고 트럭을 모는 자영업자 박모 씨는 "딜러들이나 주변 동료들로부터 가격에 대한 얘기를 듣는다" 며 "사업자는 차량 가격이나 연비에 민감한데 입소문에 의존하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입장에서 답답한 것이 당연하지만 어마어마한 과징금을 낸 기업의 입장도 봐야 한다" 며 "선의로 가격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다 해도 감독기관의 오해를 살 수 있다"고 해명했다.

8t 이상 대형트럭(덤프, 트랙터, 카고 등) 시장은 연간 1만2000대 규모로 추산된다. 이중 국내 상용차 업체가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볼보, 스카니아, 벤츠, 만 등 수입트럭 업체가 25%를 차지한다. 대당 1억~2억 원을 호가하는 수입 트럭 가격을 감안하면 해마다 3000억~6000억 원의 돈을 번다.

반면 개인 사업자들은 대부분 가격에 민감한 서민이다. 이들은 이미 가격담합으로 부당이득을 취한 제조사들에 신뢰를 잃은 경험이 있다. 잃어버린 신뢰는 가격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업계 노력으로 회복해야 한다. 공정위가 때린 매는 잘못을 시정하기 위해서지 알아야 할 정보까지 감추라는 의미가 아니다.

한경닷컴 최유리 기자 now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