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비중 확대, 이제 시작이다"-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투자증권은 6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비중을 늘리고 있는 은행, 자동차, 통신 업종에 관심을 가질 것을 조언했다.
김병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시가총액 비중이 3년래 최고치를 기록해 추가 비중 확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 자금으로 이동하는 변화가 이제 시작되고 있어 외국인의 비중 확대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또 한국물을 매수하는 외국인이 미국계와 더불어 일본, 중국계가 추가되며 국적별 성격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어 소득환율세제, 지배구조 이슈 등에 따른 배당 확대로 글로벌 장기 펀드 유입에 대한 유인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 비중 증가를 확신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외국인 순매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코스닥 또는 시가총액 중소형주에 대한 순매수 강도보다 대형주의 순매수 강도가 높다"고 말했다.
이들 업종 중 최근 비중을 추가로 확대하고 있는 업종은 은행, 자동차와 부품, 통신서비스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종목별로는 하나금융지주, KB금융,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에서 최근 순매수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비중 확대를 추천했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
김병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시가총액 비중이 3년래 최고치를 기록해 추가 비중 확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 자금으로 이동하는 변화가 이제 시작되고 있어 외국인의 비중 확대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또 한국물을 매수하는 외국인이 미국계와 더불어 일본, 중국계가 추가되며 국적별 성격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어 소득환율세제, 지배구조 이슈 등에 따른 배당 확대로 글로벌 장기 펀드 유입에 대한 유인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 비중 증가를 확신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외국인 순매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코스닥 또는 시가총액 중소형주에 대한 순매수 강도보다 대형주의 순매수 강도가 높다"고 말했다.
이들 업종 중 최근 비중을 추가로 확대하고 있는 업종은 은행, 자동차와 부품, 통신서비스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종목별로는 하나금융지주, KB금융,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에서 최근 순매수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비중 확대를 추천했다.
한경닷컴 이지현 기자 edi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