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배열 조절해 유기반도체 성능 700배 높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IST 김봉수연구원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봉수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연구원(사진)이 유기반도체의 분자 정렬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기반도체 분자를 구성하는 포화탄화수소의 사슬(chain)에 따라 분자가 적층되는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밝혀냈다. 사슬이 짧은 것은 분자들이 기판에 세로로 서 있고 긴 사슬은 가로로 누워 있는 구조로 확인됐다.
분자가 서 있는 구조는 전자의 전송 방향이 가로로 형성돼 유기트랜지스터에 쓰였을 때 좋지만 다른 소자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분자 배열을 이용해 그렇지 않은 소자에 비해 유기트랜지스터는 700배, 유기태양전지는 3배 성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연구팀은 유기반도체 분자를 구성하는 포화탄화수소의 사슬(chain)에 따라 분자가 적층되는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밝혀냈다. 사슬이 짧은 것은 분자들이 기판에 세로로 서 있고 긴 사슬은 가로로 누워 있는 구조로 확인됐다.
분자가 서 있는 구조는 전자의 전송 방향이 가로로 형성돼 유기트랜지스터에 쓰였을 때 좋지만 다른 소자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분자 배열을 이용해 그렇지 않은 소자에 비해 유기트랜지스터는 700배, 유기태양전지는 3배 성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