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식민통치를 위해 한양도성을 훼손하고 그 위에 지은 조선신궁 터가 처음 육안으로 확인됐다.

조선신궁 터 주변에서 옛 모습을 간직한 한양도성 189.3m 구간과 각자성석 등 유구도 발견됐다.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은 지난해 6월부터 남산 회현자락 중앙광장 일대를 발굴·조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발굴 성과 중 가장 큰 결과물은 그간 문헌으로만 남아있던 조선신궁의 실체가 파악된 점이다.

연구진은 조선신궁의 여러 건물 중 가장 큰 '배전'의 콘크리트 기초와 기둥자리를 발견했다. 발굴 규모는 가로 18m, 세로 12m다.

오해영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한양도성 유구가 배전 기초에서 지하 2∼3m 깊이에 3∼4단 규모만 남은 것으로 볼 때 조선신궁 부지 조성 시 성곽을 파괴하고 평탄화한 것이 한양도성이 훼손된 1차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조선신궁은 일제가 한국인들의 민족 정체성을 탈색하기 위해 1918년 지었으며 조선총독부, 통감관저, 일본공사관, 헌병사령부의 중심점 역할을 하다가 1945년 일본이 패전국이 되고 나서 사라졌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에서 189.3m의 한양도성 유구도 발견해 태조, 세종, 숙종으로 이어지며 축조·보수한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 보고된 적 없는 각자성석 1점을 발견해 글자를 판독한 결과 '내자육백척(柰字六百尺)'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남산 회현자락 중앙광장 구간이 한양도성 전체 97구간 중 60번째인 '柰'자 구간임을 알 수 있게 됐다.

한양도성의 전체 규모는 18.627㎞로 축조 당시 백악마루를 시점으로 천자문의 천(天)자에서 조(弔)자까지 97자를 순서대로 약 600척마다 성곽에 새겨놓았다.

공사실명제를 통해 각 구간을 철저히 관리했던 선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서울시는 한양도성 복원을 위해 2009년부터 남산 회현자락 777m에서 조사를 벌여왔으며 265.7m 구간을 발굴했다.

시는 발굴 내용을 토대로 설계, 착공해 2016년까지 복원 공사를 마칠 계획이다.

오 국장은 "회현자락은 침략으로 인류문화유산이 훼손된 대표 사례"라고 규정하고 "이번 발굴 성과가 한양도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앞서 완전성과 진정성을 입증하는 데 유리한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