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가 세월호특별법 재협상 통로를 닫은 채 신경전만 벌이고 있다.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14일 “집권 여당이 책임져야 한다”고 압박하자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재협상은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고수했다.

여야는 일단 본회의 최종 처리 시점을 7월 임시국회가 끝나는 오는 19일로 미뤄놨다. 이에 따라 18일이 여야가 극적 돌파구를 찾을지, 국회 파행이 장기화로 치달을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시급한 사안은 단원고 3학년 학생들의 대학 정원 외 특례 입학을 허용하는 내용의 ‘세월호 침몰사고 피해 학생의 대학입학지원 특별법’ 처리다. 올해 특별법을 적용받으려면 내달 6일 대입 수시모집 전까지 대통령의 재가 및 공포 절차를 마쳐야 하고, 그러려면 최소 15일 전인 18일엔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올해 처음 시작하는 국정감사 분리 실시도 안갯속이다. 여야는 26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1차 국감을 실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분리 실시를 위해선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개정과 국감 대상 기관 및 증인을 확정해야 하는데 이 역시 18일까지 처리하지 않으면 파행되거나 연기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 시각이다. 내년도 예산안 처리를 위한 사전 작업인 2013 회계연도 결산안 처리도 25일로 예정돼 있지만 여야가 19일까지 본회의를 열어 8월 임시국회를 소집하지 못하면 물 건너간다.

새정치연합 측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정치적 결단’에 희망을 걸고 있다. 하지만 김 대표는 13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원내 대야 협상권은 원내대표에게 일임했다”며 발을 뺐다.

야당은 이날 지도부 회의조차 열지 않았다. 새누리당의 입장 변화 여부가 막판 조율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 이후 100일이 넘도록 단 한 건의 민생법안 처리 실적 없이 9월 정기국회로 넘어가면 여야 할 것 없이 정치적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어서다. 이에 따라 여야 지도부가 18일 본회의 개최를 위해 광복절과 주말을 이용해 막판 타협을 이룰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은정진/고재연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