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라면 시장점유율 하락 예상보다 커"-IBK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BK투자증권은 18일 농심에 대해 라면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실적 개선이 더딜 것이라며 '중립' 의견을 유지했다.
농심은 올해 2분기 별도 매출액이 전년대비 2.9% 하락한 4320억원, 영업이익은 19.8% 감소한 103억원을 시현했다.
박애란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경쟁사 제품 판매호조에 따른 라면 시장점유율 하락이 실적부진의 주 요인"이라며 "'삼다수' 판매종료 이후 '백산수' 실적기여도 미미, 일본 수출 둔화 등도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올해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월에 단행된 스낵·즉석밥·음료가격 평균 7.5% 인상은 긍정적이나 라면 시장점유율 하락이 예상보다 크기 때문. 원가 하향안정에 따라 라면가격 인상 가능성도 연초보다 낮아졌으며, 해외 법인의 이익기여도도 마케팅비용 투입에 따라 아직 낮은 수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박 애널리스트는 "소비트렌드가 빠르게 바뀌고 젊은 층이 새로운 소비강자로 떠오른 요즘, 적합한 신제품 출시가 더딘 것도 아쉽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농심은 올해 2분기 별도 매출액이 전년대비 2.9% 하락한 4320억원, 영업이익은 19.8% 감소한 103억원을 시현했다.
박애란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경쟁사 제품 판매호조에 따른 라면 시장점유율 하락이 실적부진의 주 요인"이라며 "'삼다수' 판매종료 이후 '백산수' 실적기여도 미미, 일본 수출 둔화 등도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올해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월에 단행된 스낵·즉석밥·음료가격 평균 7.5% 인상은 긍정적이나 라면 시장점유율 하락이 예상보다 크기 때문. 원가 하향안정에 따라 라면가격 인상 가능성도 연초보다 낮아졌으며, 해외 법인의 이익기여도도 마케팅비용 투입에 따라 아직 낮은 수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박 애널리스트는 "소비트렌드가 빠르게 바뀌고 젊은 층이 새로운 소비강자로 떠오른 요즘, 적합한 신제품 출시가 더딘 것도 아쉽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