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선 주자서 이름 빼달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사진)는 20일 “차기 대선 출마에 대해 현재로선 생각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지난 두 번의 대선에 핵심 멤버로 참여하면서 성격이나 자격 면에서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선에 관한 질문을 하지 말고 여론조사 기관도 대권주자에서 내 이름을 빼 달라”고 요청했다.

김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 “동지적 관계”라며 “정치는 민주주의다. 초·재선 의원들도 나와 동지적 관계이지 상하관계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회선진화법은 식물국회, 식물대통령을 만드는 악법이라고 반대했다. 잘못된 법”이라며 “그러나 3분의 2 이상 찬성이 있어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바꿀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개헌과 관련, “무능한 대통령에게 5년은 길고 유능한 대통령에게 5년은 너무 짧다”며 “5년 단임제는 우리 실정에 맞지 않기 때문에 4년 중임 정·부통령제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 특별법이 해결된 뒤 본격적으로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정치인) 출판기념회는 분명히 정치자금법 위반이고 탈세”라며 “선출직 의원과 고위 공직자는 기념회를 안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당에 개선책을 내놓도록 지시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대표는 ‘부유세’와 같은 증세 문제가 보수주의의 가치와 어긋난다는 질문에 대해 “복지 욕구는 폭발하고 정부는 국가 재정 건전성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독일 23%, 프랑스 27%, 영국 29% 등 복지가 좋은 국가의 조세부담률이 우리나라(20%)보다 모두 높다며 세금 없는 복지는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2012년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 시절 부유세 도입을 주장한 바 있다.

최경환 경제팀의 부양책이 가계부채를 키울 수 있다는 비판에는 “4년간 평균 실질성장률이 2~3%로 잠재성장률(3.8%)보다 낮은 것은 처음”이라며 “정치를 못할 정도로 위급해 한국은행도 금리를 인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성장판이 닫힌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의 산업 구조를 전환하기 위해 국회가 서비스업 규제완화 및 민생경제 활성화 법안을 신속히 처리하지 않으면 우리도 일본식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