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촌 지하차도 밑 동공 > 서울시 관계자가 서울 석촌동 석촌지하차도 아래에서 추가로 발견된 동공을 지난 18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석촌 지하차도 밑 동공 > 서울시 관계자가 서울 석촌동 석촌지하차도 아래에서 추가로 발견된 동공을 지난 18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단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는 게 우선”이라며 “대형 공사를 앞두고 지질조사를 정확히 벌이고, 위험을 통합관리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현재로선 싱크홀이나 동공과 관련된 정부 대책은 아직 없다. 이 같은 지반침하가 흔히 발생하던 일이 아닌 데다 사안별로 급하게 보수공사를 하느라 제대로 된 원인분석도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영수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과장은 “(싱크홀 등 지반침하는) 최근 발생하기 시작했고 두드러진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한 경우가 거의 없어 조사나 연구를 한 적이 없다”며 “앞으로 총체적인 대응책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동공이 발견되면 보수공사에 급급해 제대로 된 원인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태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사는 “싱크홀 관리를 위해서는 지질조사 자료가 필수적”이라며 “지하공사를 할 때 의무적으로 보고하는 지질조사 자료를 토대로 위험지역을 미리 보수해 예방하는 시스템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도 지하시설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산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별로 지하에 있는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선 등의 위치를 비롯한 도면 정보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1998년 시스템 구축을 시작한 이래 시 단위 이상 지역에 대해선 2010년 이미 전산화 작업을 마쳤다. 그러나 군 이하 단위에서는 당초 계획보다 시간이 오래 걸릴 전망이다. 연간 180억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데 관련 예산이 100억원 안팎으로 줄었기 때문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지하공간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원철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는 “지질조사만 하고 수맥조사는 등한시하는 사례가 많은데 지하수맥 등 지하공간 정보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현진/김병근 기자 ap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