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록 "向上一路 실천"…이건호 "전산교체 재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사회생한 KB금융 수뇌부, 1박2일 템플스테이
KB금융, 한숨 돌렸지만…林, 추가 제재 남아있고
노조 반발·파벌 여전해…경영정상화 '첩첩산중'
KB금융, 한숨 돌렸지만…林, 추가 제재 남아있고
노조 반발·파벌 여전해…경영정상화 '첩첩산중'
22일 새벽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제재심)에서 징계 수위가 경징계로 낮아진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이 이날 오후 경기 가평군에 있는 백련사를 찾았다. 자회사 대표 및 은행 부행장, 계열사 부사장, 지주사 임원 등 경영진 30여명과 화합을 위해 1박2일간 템플스테이를 하기로 했다.
6월10일 두 최고경영자(CEO)가 중징계 방침을 통보받은 후 두 달 넘게 같이 마음을 졸였던 KB금융 경영진은 오랜만엔 웃는 얼굴로 마주 앉았다.
◆제재 결정 당일 ‘템플스테이’
임 회장은 이날 백련사에서 기자와 만나 “그룹 전 임원이 모여 화합과 소통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라며 “그동안 어려운 일들이 많았지만 잘 추스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두 향상일로(向上一路)를 실천하자는 마음 자세로 모였다”고 덧붙였다. ‘향상일로’는 중국 송나라 때의 불서 벽암록에 나오는 말로 ‘절대 진리에 이르는 외길’을 뜻한다. 임 회장은 이 행장과 웃으며 악수하고 고생 많았다는 말도 전했다.
이 행장은 임 회장과 갈등이 여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까지도 (갈등이)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주전산기 교체 문제 자체가 임 회장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였다”고 말했다.
이 행장은 전산 교체 작업부터 다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IBM이나 유닉스 등 특정 전산 기종을 미리 정해 놓지 않았다”며 “제재심 결정을 통해 전산 교체와 관련한 의사 결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그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징계 결정이 늦어지면서 밀린 은행 일부 임원 인사는 “이른 시일 내에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징계 추진이 무리했던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금융당국의 결정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다만 그렇게 징계를 받을 것이라는 생각은 안 했다”고 덧붙였다.
◆무늬만 봉합…갈 길 ‘첩첩산중’
KB금융이 큰 고비를 넘겼지만 넘어야 할 산은 아직 많다. 임 회장은 개인정보 유출 관련 추가제재를 돌파해야 한다. KB국민카드가 국민은행에서 분사할 때 은행고객(비카드) 정보를 삭제하겠다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도 이행하지 않은 점을 금융위원회가 문제 삼고 있는 상황이다.
LIG손해보험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받는 것도 현안이다. 금융당국은 사업계획 타당성 부분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임 회장의 추가 징계 수위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이 행장은 전산 교체를 놓고 사외이사들과 다시 힘겨루기를 해야 한다. 입장 차가 여전해 같은 문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특히 제재 결정이 장기화하는 동안 사외이사들과 상근감사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져 사사건건 대립이 불가피할 것이란 진단이다.
국민은행 노조가 임 회장과 이 행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선 점도 부담이다. 노조는 “임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해 직무정지 가처분, 업무상 배임,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소송으로 시시비비를 가릴 것”이라는 성명서를 이날 냈다. 임시주총 소집과 대표이사 해임도 청구할 방침이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6월10일 두 최고경영자(CEO)가 중징계 방침을 통보받은 후 두 달 넘게 같이 마음을 졸였던 KB금융 경영진은 오랜만엔 웃는 얼굴로 마주 앉았다.
◆제재 결정 당일 ‘템플스테이’
임 회장은 이날 백련사에서 기자와 만나 “그룹 전 임원이 모여 화합과 소통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라며 “그동안 어려운 일들이 많았지만 잘 추스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두 향상일로(向上一路)를 실천하자는 마음 자세로 모였다”고 덧붙였다. ‘향상일로’는 중국 송나라 때의 불서 벽암록에 나오는 말로 ‘절대 진리에 이르는 외길’을 뜻한다. 임 회장은 이 행장과 웃으며 악수하고 고생 많았다는 말도 전했다.
이 행장은 임 회장과 갈등이 여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까지도 (갈등이)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주전산기 교체 문제 자체가 임 회장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였다”고 말했다.
이 행장은 전산 교체 작업부터 다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IBM이나 유닉스 등 특정 전산 기종을 미리 정해 놓지 않았다”며 “제재심 결정을 통해 전산 교체와 관련한 의사 결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그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징계 결정이 늦어지면서 밀린 은행 일부 임원 인사는 “이른 시일 내에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징계 추진이 무리했던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금융당국의 결정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다만 그렇게 징계를 받을 것이라는 생각은 안 했다”고 덧붙였다.
◆무늬만 봉합…갈 길 ‘첩첩산중’
KB금융이 큰 고비를 넘겼지만 넘어야 할 산은 아직 많다. 임 회장은 개인정보 유출 관련 추가제재를 돌파해야 한다. KB국민카드가 국민은행에서 분사할 때 은행고객(비카드) 정보를 삭제하겠다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도 이행하지 않은 점을 금융위원회가 문제 삼고 있는 상황이다.
LIG손해보험의 자회사 편입을 승인받는 것도 현안이다. 금융당국은 사업계획 타당성 부분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임 회장의 추가 징계 수위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이 행장은 전산 교체를 놓고 사외이사들과 다시 힘겨루기를 해야 한다. 입장 차가 여전해 같은 문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특히 제재 결정이 장기화하는 동안 사외이사들과 상근감사 간 갈등의 골이 더 깊어져 사사건건 대립이 불가피할 것이란 진단이다.
국민은행 노조가 임 회장과 이 행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선 점도 부담이다. 노조는 “임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해 직무정지 가처분, 업무상 배임,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소송으로 시시비비를 가릴 것”이라는 성명서를 이날 냈다. 임시주총 소집과 대표이사 해임도 청구할 방침이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