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업계 전문가와 지방 이전 공공기관 관계자들은 공공기관 보유 부동산 매각을 활성화하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내놓고 있다. 먼저 시장 수요를 파악해 팔릴 만한 부동산과 선호도가 떨어지는 부동산을 분류하고 세분화된 전략을 세우라고 조언한다.

예를 들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서울 서초동), 한국교육개발원(양재동), 한국광물자원공사(신대방동), 서울시청과 멀지 않은 한국관광공사(중구 다동), 한국광해관리공단(종로구 수송동) 등은 비교적 서울시내에서도 괜찮은 입지여서 건물 노후도에 따라 투자자가 기존 건물로 계속 임대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 아니면 부지 개발이 더 매력적인지 등을 파악해 맞춤형 매각 전략을 세우라는 것이다.

매각 작업을 이전 기관에만 맡겨 두지 말고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도 ‘당근책’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재순 한국부동산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자체가 예비 매수자(민간 업체)와 일종의 사전협상 채널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용도지역 변경 등 개발 가능성을 미리 협의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 등 매각 조건을 다양화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재견 신영에셋 팀장은 “대형 빌딩 거래에선 매도자가 일정 기간 매수자의 투자수익률을 보장해주는 ‘리스백’ 제도 등 조건이 다양하다”며 “공기업이 리스백을 약속하긴 힘들지만 결국 공공기관의 부동산이 안 팔리면 다른 공기업이나 유관 기관이 사줄 수밖에 없는 만큼 민간 시장의 거래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방 이전 후 1년 이내로 정해진 매각 기간을 탄력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많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서울·수도권에 새 건물이 많이 들어서 빌딩이 넘쳐난다”며 “매각 기간에 쫓기다 보면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융통성 있게 매각을 추진하도록 여유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