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위원회가 다음달 1일 청와대에서 열린다. 박근혜 대통령이 노사정위원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갖는 형식이다. 최경환 부총리는 어제 밀레니엄포럼에서 “정부가 지원을 해서라도 노사가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을 만드는 단계”라며 “9월1일 청와대 노사정위원회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힌 대목도 관심을 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박 대통령 역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지난 25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노사정이 대타협을 이루고 손을 맞잡는 모습을 볼 때 국민도 다시 한 번 할 수 있다는 희망과 용기,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까지 말했다고 한다.

노사갈등을 최소화하고 노동계 난제들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특히 통상임금, 근로시간단축, 정년연장 등 최근 이슈는 개별 노사에만 맡겨서는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형식과 속도는 여전히 남는 문제다. 노사정 간담회가 열린 게 지난달 29일이다. 최 부총리를 비롯 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 장관 등 세 명의 국무위원이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1인을 모시듯하며 사진을 찍는 진풍경까지 연출됐다. 지난 19일에는 8개월 만에 노사정위가 재개됐고 여기에 청와대 간담회까지 한 달 만에 속전속결로 달려오고 있다.

노사정위는 기본적으로 협상과 타협의 무대다. 밀고 당기는 과정을 피할 수 없고, 서두를수록 나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미묘한 협상들을 앞두고 대통령이 직접 나서게 되면 노사대화가 곧 정치화할 가능성도 크다. 행정규제완화 등과는 달리 대통령의 직접적인 권력행위가 작용할 수도 없다. 더군다나 노동계의 한축인 민노총은 노사정위에 여전히 불참하고 있다.

기왕에 약속이 잡혔다면 이날 대화는 노사정위원들을 격려하는 간담회로 끝내는 것이 좋다. 대통령을 끌어넣으면 협상이 가능한 항목도 정치적 흥정거리로 전락할 가능성만 높인다. 세월호법 등 대통령이 해결하라며 벼랑 끝으로 치닫는 난제들에 또 하나 과제만 추가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