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예·적금금리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우리銀 등 주력 상품 0.1~0.2%P 일제히 내려
"재테크 빙하기 시대 CP·위안화예금 투자할 만"
"재테크 빙하기 시대 CP·위안화예금 투자할 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에도 눈치를 보며 금리 인하를 미뤄오던 은행들이 29일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떨어뜨렸다. 정기예금 금리가 사실상 연 1%대 길목에 들어서자 전문가들은 유로하이일드펀드 기업어음(CP) 위안화예금 등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국민·우리銀, 0.1~0.2%p 인하
우리은행은 이날 정기예금 금리를 0.1%포인트, 정기적금 금리는 0.2%포인트 일제히 내렸다. 국민은행도 대표 4개 예금 상품 금리를 0.1~0.2%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하이스토리예금’ 금리는 연 2.35%에서 연 2.25%로, 우리은행의 ‘우리겨레통일예금’은 연 2.4%에서 연 2.3%로 떨어졌다. 모두 1년 만기 상품이다.
하나은행은 이보다 앞선 지난 22일 예·적금 금리를 0.05~0.2%포인트 내렸다. 하나은행 대표 예금 상품인 ‘고단위플러스예금’은 1년 만기 기준으로 연 2.1%다. 농협은행도 20일 ‘큰만족 실세예금’ 금리를 연 2.4%에서 연 2.05%로 대폭 내렸다.
은행들은 이번 금리 인하조정 대상에서 대출상품은 제외했다. 코픽스 금융채 등 각종 시장금리에 연동돼 있어 자동변경되기 때문이다.
○유로하이일드·CP·위안화예금에 관심 둬야
전문가들은 갈수록 금리가 떨어지는 예·적금통장을 대신해 원금보장형 유로 하이일드펀드 등에 주목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금리 인상 분위기에 따라 미국 하이일드상품의 매력이 한 풀 꺾인 것과 달리 유럽은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이 있어 유망하다는 진단이다. 양적완화로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는 얘기다. 증권사와 은행권은 유럽 하이일드 상품을 원금보장형으로 설계해 연 4~6% 수준의 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어음, 중국 위안화예금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민은행이 지난 21일 판매한 목포산업단지 조성 관련 기업어음은 이틀 만에 한도(410억원)가 소진됐다. 위안화 예금도 금리가 연 3% 안팎이라는 입소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품들은 상품 구조가 복잡한 만큼 관련 기업의 신용도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박신영/김일규 기자 nyusos@hankyung.com
우리은행은 이날 정기예금 금리를 0.1%포인트, 정기적금 금리는 0.2%포인트 일제히 내렸다. 국민은행도 대표 4개 예금 상품 금리를 0.1~0.2%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하이스토리예금’ 금리는 연 2.35%에서 연 2.25%로, 우리은행의 ‘우리겨레통일예금’은 연 2.4%에서 연 2.3%로 떨어졌다. 모두 1년 만기 상품이다.
하나은행은 이보다 앞선 지난 22일 예·적금 금리를 0.05~0.2%포인트 내렸다. 하나은행 대표 예금 상품인 ‘고단위플러스예금’은 1년 만기 기준으로 연 2.1%다. 농협은행도 20일 ‘큰만족 실세예금’ 금리를 연 2.4%에서 연 2.05%로 대폭 내렸다.
은행들은 이번 금리 인하조정 대상에서 대출상품은 제외했다. 코픽스 금융채 등 각종 시장금리에 연동돼 있어 자동변경되기 때문이다.
○유로하이일드·CP·위안화예금에 관심 둬야
전문가들은 갈수록 금리가 떨어지는 예·적금통장을 대신해 원금보장형 유로 하이일드펀드 등에 주목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금리 인상 분위기에 따라 미국 하이일드상품의 매력이 한 풀 꺾인 것과 달리 유럽은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이 있어 유망하다는 진단이다. 양적완화로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는 얘기다. 증권사와 은행권은 유럽 하이일드 상품을 원금보장형으로 설계해 연 4~6% 수준의 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어음, 중국 위안화예금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민은행이 지난 21일 판매한 목포산업단지 조성 관련 기업어음은 이틀 만에 한도(410억원)가 소진됐다. 위안화 예금도 금리가 연 3% 안팎이라는 입소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품들은 상품 구조가 복잡한 만큼 관련 기업의 신용도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박신영/김일규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