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용 "KAI 20년 이끌 인재 뽑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형국책사업 수주 대비…연구개발 인력 2015년까지 1000명 채용
한국형 전투기·소형헬기 등 2020년까지 대형사업 확보
국내 전문 엔지니어 부족…해외서도 채용 설명회 열것
한국형 전투기·소형헬기 등 2020년까지 대형사업 확보
국내 전문 엔지니어 부족…해외서도 채용 설명회 열것
“항공기 제작의 성패는 우수 인력 확보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관련 분야의 전문 엔지니어가 부족하면 해외에서 채용설명회를 열어서라도 필요한 연구개발(R&D) 인력을 뽑을 계획입니다.”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사진)은 지난달 29일 우수 인력 채용의 고충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KAI가 내년 말까지 R&D 부문에서 1000여명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그의 고민을 반영한 조치다. 현재 KAI가 보유한 R&D 인력은 1300명이다. KAI는 연내 정기채용에서 300명을 뽑고 나머지 인력은 내년 중 수시채용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그는 “한국형 전투기(KF-X)와 미국 차기 고등훈련기(TX), 소형 민수헬기(LCH)와 소형 무장헬기(LAH) 등 대형 국책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 앞으로 최소 20년은 끌고 갈 인재를 미리 확보해야 한다”며 “웬만한 대기업도 한꺼번에 이렇게 많은 R&D 인력을 채용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에서 필요한 R&D 인력을 모두 조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미국에서도 채용설명회를 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 사장이 공격적으로 인력 유치에 나선 것은 고도의 기술·노동집약적인 항공기 산업의 특성을 감안해서다. 항공기 한 대를 제작하려면 필요한 부품만 약 20만~30만개에 달한다. 기체 설계와 전자,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 들어 KAI의 항공 비즈니스에 대한 정보가 확산되면서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 그는 “본사가 경남 사천에 있다 보니 몇 년 전까지만 해도 KAI에 오려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는데 최근 분위기가 반전됐다”며 “지난해 R&D 직원 24명을 뽑는 데 5000명이 몰렸다”고 전했다. 지원자 가운데 KAI를 ‘한국의 보잉’처럼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KAI의 첫 내부 출신 최고경영자(CEO)인 하 사장은 2011년 경영지원본부장(부사장)을 끝으로 KAI를 떠나 2년간 성동조선해양 사장을 지냈다. 작년 5월 KAI 사장으로 돌아온 이후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으로 수출 물량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KF-X 사업에 대해서도 “올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 추진 계획이 확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KF-X는 2022년까지 공군의 미디엄급 전투기 120여대를 국내에서 개발하는 사업이다. KAI는 수출 가능성과 개발 비용 문제를 들어 단발 엔진이 적합하다고 주장했고, 공군에선 전투력 향상 차원에서 쌍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KF-X 엔진은 지난 7월 쌍발로 결정됐다.
하 사장은 “KAI에서 단발 엔진을 원했던 이유는 단발 엔진 중형기를 개발하면 수출 공략이 잘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분화된 전투기 시장에서는 무조건 고성능 기종을 제작하는 것보다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사진)은 지난달 29일 우수 인력 채용의 고충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KAI가 내년 말까지 R&D 부문에서 1000여명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그의 고민을 반영한 조치다. 현재 KAI가 보유한 R&D 인력은 1300명이다. KAI는 연내 정기채용에서 300명을 뽑고 나머지 인력은 내년 중 수시채용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그는 “한국형 전투기(KF-X)와 미국 차기 고등훈련기(TX), 소형 민수헬기(LCH)와 소형 무장헬기(LAH) 등 대형 국책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 앞으로 최소 20년은 끌고 갈 인재를 미리 확보해야 한다”며 “웬만한 대기업도 한꺼번에 이렇게 많은 R&D 인력을 채용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에서 필요한 R&D 인력을 모두 조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미국에서도 채용설명회를 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 사장이 공격적으로 인력 유치에 나선 것은 고도의 기술·노동집약적인 항공기 산업의 특성을 감안해서다. 항공기 한 대를 제작하려면 필요한 부품만 약 20만~30만개에 달한다. 기체 설계와 전자,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 들어 KAI의 항공 비즈니스에 대한 정보가 확산되면서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 그는 “본사가 경남 사천에 있다 보니 몇 년 전까지만 해도 KAI에 오려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는데 최근 분위기가 반전됐다”며 “지난해 R&D 직원 24명을 뽑는 데 5000명이 몰렸다”고 전했다. 지원자 가운데 KAI를 ‘한국의 보잉’처럼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KAI의 첫 내부 출신 최고경영자(CEO)인 하 사장은 2011년 경영지원본부장(부사장)을 끝으로 KAI를 떠나 2년간 성동조선해양 사장을 지냈다. 작년 5월 KAI 사장으로 돌아온 이후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으로 수출 물량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KF-X 사업에 대해서도 “올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 추진 계획이 확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KF-X는 2022년까지 공군의 미디엄급 전투기 120여대를 국내에서 개발하는 사업이다. KAI는 수출 가능성과 개발 비용 문제를 들어 단발 엔진이 적합하다고 주장했고, 공군에선 전투력 향상 차원에서 쌍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KF-X 엔진은 지난 7월 쌍발로 결정됐다.
하 사장은 “KAI에서 단발 엔진을 원했던 이유는 단발 엔진 중형기를 개발하면 수출 공략이 잘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분화된 전투기 시장에서는 무조건 고성능 기종을 제작하는 것보다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