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안전 결함 8만여 건에 이르는데 11%만 보수 … 정밀점검 허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5년간 서울 지하철에서 7만9569건의 안전 결함이 지적됐지만, 그중 11%인 1만550건만 보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감사관은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자치구 23곳(양천·광진 제외)과 합동으로 지하철역사의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4호선 구간에선 균열 6만2638건과 누수 710건,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9호선 구간에선 균열 1만5931건과 누수 355건이 발생했다.
서울시 감사관은 특히 서울메트로는 시설물 결함에 대한 보수 예산이 2011년 50억원, 2012년 37억원, 2013년 30억원, 올해 22억원으로 매년 0.3%가량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조찬 회동에서 서울시 재정난과 지하철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비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감사관은 그러나 지금까지 파악된 지하철 안전 결함이 예산 부족 탓만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서울메트로는 고가역사 20곳에 대해 정밀점검을 하면서 콘크리트 비파괴강도, 콘크리트탄산화 깊이 조사 등 현장재료시험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하철 2호선 철도교량을 점검하면서 수심 상승으로 고소장비를 투입하기 어려워지자 망원경 등을 이용해 대략적인 육안점검만 한 사실도 드러났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서울시 감사관은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자치구 23곳(양천·광진 제외)과 합동으로 지하철역사의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4호선 구간에선 균열 6만2638건과 누수 710건,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9호선 구간에선 균열 1만5931건과 누수 355건이 발생했다.
서울시 감사관은 특히 서울메트로는 시설물 결함에 대한 보수 예산이 2011년 50억원, 2012년 37억원, 2013년 30억원, 올해 22억원으로 매년 0.3%가량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조찬 회동에서 서울시 재정난과 지하철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비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감사관은 그러나 지금까지 파악된 지하철 안전 결함이 예산 부족 탓만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서울메트로는 고가역사 20곳에 대해 정밀점검을 하면서 콘크리트 비파괴강도, 콘크리트탄산화 깊이 조사 등 현장재료시험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하철 2호선 철도교량을 점검하면서 수심 상승으로 고소장비를 투입하기 어려워지자 망원경 등을 이용해 대략적인 육안점검만 한 사실도 드러났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