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완성차 업계에서 빚어진 생산 차질이 자동차 부품 업계의 수출 실적에도 타격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수출 잠정치는 19억19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9.6% 줄었다.

월간 자동차 부품 수출이 20억달러를 밑돈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만으로, 올 들어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부품 수출에 급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가속이 붙던 자동차 부품 수출이 지난달 뚝 떨어진 것은 완성차 업계의 생산 차질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완성차 업체들은 지난달 여름휴가 기간이 몰리면서 작년 8월보다 조업일이 하루 준 데다 현대·기아차 노조의 부분 파업과 잔업·특근 거부로 생산 물량이 줄었다.

국내 완성차 공장에 납품하는 물량이 해외 메이커 납품이나 수리(AS)용 부품 물량보다 훨씬 많은 국내 부품사들의 매출 구조를 감안하면 완성차 업계의 생산 차질은 부품사 수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수출용 완성차에 장착하는 부품 역시 세관을 거치는 수출 물량으로 집계된다.

자동차공업협회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 및 단체협상이 얼마나 빨리 끝나느냐가 향후 완성차 및 부품 수출 실적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박수진 기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