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수요 맞추려면 전문가 양성 서둘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et's Master 빅데이터 (6) 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개발·분석전문가 등
분야별로 세분화해 육성을
미국은 84개 프로그램에
총 2억달러 예산 투입
英·日도 전문가 양성 서둘러
데이터 개발·분석전문가 등
분야별로 세분화해 육성을
미국은 84개 프로그램에
총 2억달러 예산 투입
英·日도 전문가 양성 서둘러
미국계 빅데이터 전문업체인 맵알테크놀로지스 등 전문업체들이 잇따라 국내 시장에 상륙하면서 빅데이터 시장이 서서히 달궈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양적으로도 2015년 3000억원, 2020년 1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빅데이터 업체들도 치열한 한판 승부를 각오하고 있지만 애로사항이 첩첩산중이다.
우선 빅데이터를 추진하고 싶은 조직들조차 투자를 주저하고 있다. 명확한 투자수익(ROI)을 보여준 사례가 적고, 성공한 기업들도 그 성과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다. 경기 악화는 빅데이터 투자 위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점차 일기 시작한 초기 시장의 경쟁도 만만치 않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시장과 컨설팅 시장에서 경험했듯이, 초기 시장은 해외 선진 기업의 독식구조를 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수년간의 빅데이터 실전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 기업은 이제 막 시장에 뛰어드는 상황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하다. 무엇보다도 큰 애로요인은 기획·분석인력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란 것이다.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전문인력은 수백명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빅데이터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빅데이터 기획 인력 수요까지 합치면 부족 현상은 상상 이상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7년까지 빅데이터 전문 분야에서 52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빅데이터 전문인력 부족 현상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 글로벌 기업 60% 빅데이터 적극 활용
글로벌 비즈니스 분석 업체인 SAS가 글로벌 752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활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0%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 또는 인력 배치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들 기업도 전문인력 부족을 하소연했다. 기업들은 빅데이터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기업들은 빅데이터 활용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41%)’을 꼽았다. 이에 대해 맥킨지는 미국의 경우 2018년까지 약 150만명의 전문인력 부족을 예상했다.
전문인력의 수급 불일치 상황에 대한 예견은 자연스럽게 국가의 전문인력 양성 정책을 출현하게 한다. 먼저 주요국의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정책을 살펴보자. 이미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미국 정부는 2012년 3월 ‘빅데이터 연구개발(R&D)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진행한다. 세부 지원 프로그램들은 국방부(DoD) 등 총 6개 기관별로 84개 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총 2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 기관별, 프로그램별로 빅데이터 기술개발 사항을 민간 연구기관 및 대학에 의뢰하고, 빅데이터 관련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장려, 학부과정의 빅데이터 시각화 및 처리교육 과정 개설 등에 2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2013년 10월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해 일반 국민, 소비자, 기업, 교육 기관, 공공 부문 등 국가 전반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빅데이터 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빅데이터 전문인력을 3대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보고 전 교육 과정에 걸쳐 전문가 양성 과정을 보강하고 나아가 이들이 실무 현장과 관련 학계로 진출할 수 있는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영국보다 앞선 2012년 5월, ICT에 기반한 국가 주도의 종합적 진흥 정책인 ‘액티브 재팬 ICT’ 계획을 발표하면서 빅데이터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 계획에 포함된 빅데이터 정책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해석기술 전문가를 양성하고 신진 연구자벤처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개방하는 등 빅데이터 관련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정부 고급인재 5000명 육성 정책 밝혀
한국 정부도 2013년 12월 ‘빅데이터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5년 내에 5000명의 고급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부는 빅데이터 분야별 인력 수요 및 공급 전망을 분석하고, 대학 등 국내 교육기관에 실무 중심의 빅데이터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시하는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산·학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전문 자격증 제도를 도입해 데이터 과학자 양성을 위한 정책적 대안도 마련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대학 교육과 재직자 교육이라는 두 가지 방식의 정부 정책이 양과 질 모두 업계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보고 있다. 기본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기술, 통계,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는 스토리텔링 능력과 패턴 및 알고리즘 구성, 시각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분석 대상이 되는 비즈니스에 대한 전문 지식도 당연히 필요할 것이다. 이런 역량을 갖춘 데이터 과학자는 소위 슈퍼맨이다. 그런데 정부가 내놓은 정책은 이러한 슈퍼맨을 대거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업계가 정부의 빅데이터 인력 양성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이유다.
당장 필요로 하는 분야별 전문인력부터 중장기적인 데이터 과학자 양성에 이르기까지 세분화해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바람하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 견해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해 등장한 새로운 기술 분야별 개발자 양성, 빅데이터 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개발자 양성,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석전문가 양성 등을 들 수 있다. 데이터 개발자가 데이터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직접 만드는 인력이라고 한다면, 분석전문가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활용해서 각종 비즈니스 질문에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이들이다.
노규성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회장·선문대 교수 >
우선 빅데이터를 추진하고 싶은 조직들조차 투자를 주저하고 있다. 명확한 투자수익(ROI)을 보여준 사례가 적고, 성공한 기업들도 그 성과를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다. 경기 악화는 빅데이터 투자 위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점차 일기 시작한 초기 시장의 경쟁도 만만치 않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시장과 컨설팅 시장에서 경험했듯이, 초기 시장은 해외 선진 기업의 독식구조를 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수년간의 빅데이터 실전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 기업은 이제 막 시장에 뛰어드는 상황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하다. 무엇보다도 큰 애로요인은 기획·분석인력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란 것이다.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전문인력은 수백명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빅데이터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빅데이터 기획 인력 수요까지 합치면 부족 현상은 상상 이상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7년까지 빅데이터 전문 분야에서 52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빅데이터 전문인력 부족 현상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 글로벌 기업 60% 빅데이터 적극 활용
글로벌 비즈니스 분석 업체인 SAS가 글로벌 752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활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0%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 또는 인력 배치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들 기업도 전문인력 부족을 하소연했다. 기업들은 빅데이터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전문인력을 확보하지 못해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기업들은 빅데이터 활용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데이터 처리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41%)’을 꼽았다. 이에 대해 맥킨지는 미국의 경우 2018년까지 약 150만명의 전문인력 부족을 예상했다.
전문인력의 수급 불일치 상황에 대한 예견은 자연스럽게 국가의 전문인력 양성 정책을 출현하게 한다. 먼저 주요국의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정책을 살펴보자. 이미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미국 정부는 2012년 3월 ‘빅데이터 연구개발(R&D)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진행한다. 세부 지원 프로그램들은 국방부(DoD) 등 총 6개 기관별로 84개 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총 2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 기관별, 프로그램별로 빅데이터 기술개발 사항을 민간 연구기관 및 대학에 의뢰하고, 빅데이터 관련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장려, 학부과정의 빅데이터 시각화 및 처리교육 과정 개설 등에 2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2013년 10월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해 일반 국민, 소비자, 기업, 교육 기관, 공공 부문 등 국가 전반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빅데이터 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빅데이터 전문인력을 3대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보고 전 교육 과정에 걸쳐 전문가 양성 과정을 보강하고 나아가 이들이 실무 현장과 관련 학계로 진출할 수 있는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영국보다 앞선 2012년 5월, ICT에 기반한 국가 주도의 종합적 진흥 정책인 ‘액티브 재팬 ICT’ 계획을 발표하면서 빅데이터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 계획에 포함된 빅데이터 정책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해석기술 전문가를 양성하고 신진 연구자벤처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개방하는 등 빅데이터 관련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정부 고급인재 5000명 육성 정책 밝혀
한국 정부도 2013년 12월 ‘빅데이터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5년 내에 5000명의 고급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부는 빅데이터 분야별 인력 수요 및 공급 전망을 분석하고, 대학 등 국내 교육기관에 실무 중심의 빅데이터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시하는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산·학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전문 자격증 제도를 도입해 데이터 과학자 양성을 위한 정책적 대안도 마련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대학 교육과 재직자 교육이라는 두 가지 방식의 정부 정책이 양과 질 모두 업계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보고 있다. 기본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기술, 통계, 데이터 분석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는 스토리텔링 능력과 패턴 및 알고리즘 구성, 시각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분석 대상이 되는 비즈니스에 대한 전문 지식도 당연히 필요할 것이다. 이런 역량을 갖춘 데이터 과학자는 소위 슈퍼맨이다. 그런데 정부가 내놓은 정책은 이러한 슈퍼맨을 대거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업계가 정부의 빅데이터 인력 양성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이유다.
당장 필요로 하는 분야별 전문인력부터 중장기적인 데이터 과학자 양성에 이르기까지 세분화해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바람하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 견해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해 등장한 새로운 기술 분야별 개발자 양성, 빅데이터 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개발자 양성,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분석전문가 양성 등을 들 수 있다. 데이터 개발자가 데이터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직접 만드는 인력이라고 한다면, 분석전문가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활용해서 각종 비즈니스 질문에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이들이다.
노규성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회장·선문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