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연 1억4000만원 항암제 시판..고가신약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료 효과는 뛰어나지만 연간 약값이 1억4000만원에 달하는 고가 항암제가 최근 일본에서 시판됐다. 일본 오노 제약회사와 미국 계 제약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가 공동개발한 항암제 ‘옵디보(Opdivo)’가 2일(현지시간) 일본에서 시판됐다 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 보도했다.
옵디보는 세계 최초로 판매 허가를 받은 PD-1 억제제(체내 면역체계를 이용 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제)로 악성 피부암인 흑색종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상 시험결과에 따르면 옵디보를 투 여한 흑색종 환자의 치효 후 1년 생존율이 62%에 달했고 43%는 2년간 생존했다. 옵디보를 투여받은 환자의 생존기간 중간값 은 17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억대에 달하는 약값이다. 오노 제약에 따르면 옵디보는 100㎎에 72만2849엔 (708만원)이며 3주에 한 번씩 환자의 몸무게를 고려해 투여한다. 일본 환자의 평균 몸무게가 59.8㎏라는 점을 고려하면 연 간 약제 비용은 1500만 엔(약 1억4560만원)에 달하는 셈이다.
지난 7월 한 알에 100만원 꼴인 C형 간염 치료제 '소발 디' 개발로 이미 골머리를 앓았던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머지않아 천문학적인 약제비용 부담에 시달리게 됐다고 WSJ은 전했다.
BMS 는 이달 30일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도 이 항암제의 판매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독일계 제약회사인 머크 가 FDA에 PD-1 억제제 계열인 펨브롤리주맙의 판매 허가를 신청했으며, 길리어드와 애브비가 개발한 새로운 C형 간염 치료제 도 올해 말까지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미국암학회(ASC)의 레너드 리히텐펠드 박사는 이번 PD-1 억제제 치료제에 대해 "이 치 료제가 의미 있고 장기적인 효과를 냈다"고 평가하면서도 새 항암제의 높은 비용이 환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옵디보는 세계 최초로 판매 허가를 받은 PD-1 억제제(체내 면역체계를 이용 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제)로 악성 피부암인 흑색종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상 시험결과에 따르면 옵디보를 투 여한 흑색종 환자의 치효 후 1년 생존율이 62%에 달했고 43%는 2년간 생존했다. 옵디보를 투여받은 환자의 생존기간 중간값 은 17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억대에 달하는 약값이다. 오노 제약에 따르면 옵디보는 100㎎에 72만2849엔 (708만원)이며 3주에 한 번씩 환자의 몸무게를 고려해 투여한다. 일본 환자의 평균 몸무게가 59.8㎏라는 점을 고려하면 연 간 약제 비용은 1500만 엔(약 1억4560만원)에 달하는 셈이다.
지난 7월 한 알에 100만원 꼴인 C형 간염 치료제 '소발 디' 개발로 이미 골머리를 앓았던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머지않아 천문학적인 약제비용 부담에 시달리게 됐다고 WSJ은 전했다.
BMS 는 이달 30일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도 이 항암제의 판매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독일계 제약회사인 머크 가 FDA에 PD-1 억제제 계열인 펨브롤리주맙의 판매 허가를 신청했으며, 길리어드와 애브비가 개발한 새로운 C형 간염 치료제 도 올해 말까지 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미국암학회(ASC)의 레너드 리히텐펠드 박사는 이번 PD-1 억제제 치료제에 대해 "이 치 료제가 의미 있고 장기적인 효과를 냈다"고 평가하면서도 새 항암제의 높은 비용이 환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