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과 연구개발 협약 체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종근당은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과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CKD-519'의 임상1상에 대한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종근당은 최근 CKD-519의 임상1상 시험에 대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의 신규 과제 승인을 신청했으며,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평가를 거쳐 지원을 받게 됐다.
CKD-519는 새로운 작용기전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로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지단백(HDL) 수치를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HDL은 혈관이나 조직의 잉여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해 체외로 방출, 죽상동맥경화 및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CKD-519는 지난해 3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선정돼 전임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올 5월 임상1상 승인을 받고 현재 연세 세브란스 의료원에서 투약에 따른 안전성 및 내약성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전임상 시험에서 CKD-519는 동맥경화가 유발된 토끼에 12주간 투여한 결과, 우수한 동맥경화 개선 효과와 200% 이상의 HDL 콜레스테롤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된 햄스터에 대해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배설하는 역수송능 평가 시험에서도 콜레스테롤 유출 증가가 확인됐다. 또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유의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종근당 관계자는 "2013년 스타틴계 약물 중심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의 세계 시장은 약 300억달러, 국내 시장은 약 6600억원 규모"라며 "CKD-519가 개발에 성공한다면 새로운 기전의 이상지질혈증 치료 신약으로 세계 시장에서 크게 주목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종근당은 최근 CKD-519의 임상1상 시험에 대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의 신규 과제 승인을 신청했으며,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평가를 거쳐 지원을 받게 됐다.
CKD-519는 새로운 작용기전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로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지단백(HDL) 수치를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HDL은 혈관이나 조직의 잉여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해 체외로 방출, 죽상동맥경화 및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CKD-519는 지난해 3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선정돼 전임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올 5월 임상1상 승인을 받고 현재 연세 세브란스 의료원에서 투약에 따른 안전성 및 내약성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전임상 시험에서 CKD-519는 동맥경화가 유발된 토끼에 12주간 투여한 결과, 우수한 동맥경화 개선 효과와 200% 이상의 HDL 콜레스테롤 증가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된 햄스터에 대해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배설하는 역수송능 평가 시험에서도 콜레스테롤 유출 증가가 확인됐다. 또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유의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종근당 관계자는 "2013년 스타틴계 약물 중심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의 세계 시장은 약 300억달러, 국내 시장은 약 6600억원 규모"라며 "CKD-519가 개발에 성공한다면 새로운 기전의 이상지질혈증 치료 신약으로 세계 시장에서 크게 주목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