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입국 나이지리아인 격리 검사 중 … 오후 8시쯤 결과가 나올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4일 입국한 나이지리아인 남성(39)이 고열 증상을 보여 현재 임시 격리한 채 정밀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5일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격리 후 검체를 분석 중으로 오후 8시쯤 결과가 나올 것" 이라고 말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이 환자는 카타르 도하발 항공편으로 4일 오후 3시38분 인천공항에 도착했으나, 검역 당시 체온이 38.2℃에 이르러 임시 격리실로 이송됐다.
이후 열은 36.6℃로 떨어졌지만, 입국 목적이 불분명한 것으로 밝혀져 같은 날 오후 9시30분 법무부로부터 '입국 불허'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이 남성은 5일 새벽 1시20분 카타르행 비행기에 탑승했으나, 기내에서 다시 고열 증상을 호소해 해당 비행기가 새벽 2시30분께 인천공항으로 돌아왔다.
착륙 후 격리된 환자를 인천공항 검역소에서 다시 조사했다. 이후 환자는 새벽 5시30분께 국가 지정 격리병원으로 이송됐고 보건당국은 환자로부터 확보한 검체를 현재 오송 질병관리본부 'BL3+'급 검사실에서 분석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아직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과 증상 등으로 미뤄 에볼라보다는 말라리아 등 일반 열병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나이지리아에서 현재 에볼라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지역은 라고스인데, 이 남성의 거주지는 라고스로부터 500㎞ 이상 떨어진 아바(Aba)라는 곳"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남성이 한국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라고스에서 1시간가량 체류한 행적이 있어 완전히 마음을 놓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 이 관계자는 "에볼라라면 열이 꾸준히 오르거나 고열이 유지되는 게 보통인데, 이 환자의 경우 열이 오르락내리락하다 현재 다소 안정된 상태인 만큼, 아프리카 풍토병이자 열병인 말라리아 등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보건당국에 따르면 이 환자는 카타르 도하발 항공편으로 4일 오후 3시38분 인천공항에 도착했으나, 검역 당시 체온이 38.2℃에 이르러 임시 격리실로 이송됐다.
이후 열은 36.6℃로 떨어졌지만, 입국 목적이 불분명한 것으로 밝혀져 같은 날 오후 9시30분 법무부로부터 '입국 불허'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이 남성은 5일 새벽 1시20분 카타르행 비행기에 탑승했으나, 기내에서 다시 고열 증상을 호소해 해당 비행기가 새벽 2시30분께 인천공항으로 돌아왔다.
착륙 후 격리된 환자를 인천공항 검역소에서 다시 조사했다. 이후 환자는 새벽 5시30분께 국가 지정 격리병원으로 이송됐고 보건당국은 환자로부터 확보한 검체를 현재 오송 질병관리본부 'BL3+'급 검사실에서 분석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아직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여러 정황과 증상 등으로 미뤄 에볼라보다는 말라리아 등 일반 열병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나이지리아에서 현재 에볼라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지역은 라고스인데, 이 남성의 거주지는 라고스로부터 500㎞ 이상 떨어진 아바(Aba)라는 곳"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남성이 한국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라고스에서 1시간가량 체류한 행적이 있어 완전히 마음을 놓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 이 관계자는 "에볼라라면 열이 꾸준히 오르거나 고열이 유지되는 게 보통인데, 이 환자의 경우 열이 오르락내리락하다 현재 다소 안정된 상태인 만큼, 아프리카 풍토병이자 열병인 말라리아 등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