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대인시장 '문화예술 장터' 변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끌벅적한 전통시장과 현대예술의 색다른 만남
시장 곳곳 벽화·먹거리…2030 젊은층에 인기몰이
夜시장 하루 6000명 찾아…지역 최대명물 자리매김
시장 곳곳 벽화·먹거리…2030 젊은층에 인기몰이
夜시장 하루 6000명 찾아…지역 최대명물 자리매김
“깜짝 놀랐습니다.” 광주광역시 대인동 대인시장에서 열리는 야시장에 처음 온 사람들의 탄성이다. 전통시장에 인파가 넘쳐나고, 시장을 찾는 사람 대부분이 20~30대 젊은 층이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이 문화·예술과 접목된 시장으로 변신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추석 연휴가 시작된 지난 6일 밤 대인시장에선 옛날 전통시장에서나 볼 수 있는 ‘대목시장’ 모습이 재현됐다.
환하게 밝힌 시장에선 어깨를 부딪치지 않고는 지나갈 수 없을 정도로 북적였다. 야시장은 작가와 상인들이 내놓은 액세서리 그림엽서 머그잔 등을 사려는 사람들의 흥정소리로 시끌벅적했다. 통기타 가수와 성악가, 전자바이올리니스트 등의 공연장에도 사람들이 넘쳐났다. 서울에서 온 김정현 씨(29·경희대 경영대학원)는 “소문 듣고 왔는데 활기가 넘치고 젊은 세대까지 어우러지는 전통시장은 처음 봤다”며 “예술가들이 상인들과 함께하려는 진심 어린 노력이 전통시장을 문화·예술시장으로 탄생시킨 것 같다”고 말했다.
○문화·예술시장으로 변신
대인시장도 빈 점포가 늘어나면서 손님이 줄고 썰렁해지는 등 여느 전통시장처럼 쇠락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대인시장은 2008년 예술인을 지원하는 광주비엔날레의 ‘복덕방 프로젝트’를 통해 달라지기 시작했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이 시장 내 10여곳에 설치미술을 선보이고 시장 곳곳에 벽화를 그리면서 시장은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해 나갔다. 현대미술과 전통시장의 결합이 호평을 받자 참여작가 중 5명은 아예 시장에 작업실을 마련하고 상인들과 동거를 시작했다. 지금은 작업실 25개와 작가 42명으로 규모가 늘어났다. 올초엔 주차타워 1개층을 개조해 작가 12명이 입주했다. 독일에서 유학하고 지난 4월 이곳에 공방을 낸 한옥건축가이자 천연염색작가 송호삼 씨는 “다양한 예술인들이 모여 협업을 하면서 예술적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사람냄새 물씬 나는 시장에서 영감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야시장에 6000명 찾아
대인시장은 매달 둘째주 금·토요일에 열리는 야시장도 인기다. 야시장은 ‘별밤에 열리는 시장’이라 불리는데 줄여서 ‘별장’이라고 한다. 2011년 작가들이 중심이 돼 시작한 야시장은 올 들어 하루 5000~6000명이 찾을 정도다. 상인들은 “매대 한 곳의 하룻밤 매출이 100만원을 넘는다”고 소개했다.
박종철 대인예술시장 별장프로젝트팀 사무국장은 “문화체육관광부 문전성시사업(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의 유일한 모델시장”이라며 “올해는 참여를 희망하는 일반인 판매자와 시장상인이 크게 늘어 야시장을 두 배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대인시장이 한층 더 성공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초기 작가들과 상인들의 활동시간이 달라 빚었던 갈등은 이제 없어졌다. 하지만 전국적인 시장으로 유명해지면서 임대료가 올라 짐을 싸는 작가가 생겨나고 있다.
박시훈 대인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단장은 “상인들도 사진 음악교실 등 예술 경험을 통해 시장운영에 문화·예술을 접목하고 있다”며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특색 상품을 개발해 광주를 대표하는 전국 최고의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진 전통시장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
추석 연휴가 시작된 지난 6일 밤 대인시장에선 옛날 전통시장에서나 볼 수 있는 ‘대목시장’ 모습이 재현됐다.
환하게 밝힌 시장에선 어깨를 부딪치지 않고는 지나갈 수 없을 정도로 북적였다. 야시장은 작가와 상인들이 내놓은 액세서리 그림엽서 머그잔 등을 사려는 사람들의 흥정소리로 시끌벅적했다. 통기타 가수와 성악가, 전자바이올리니스트 등의 공연장에도 사람들이 넘쳐났다. 서울에서 온 김정현 씨(29·경희대 경영대학원)는 “소문 듣고 왔는데 활기가 넘치고 젊은 세대까지 어우러지는 전통시장은 처음 봤다”며 “예술가들이 상인들과 함께하려는 진심 어린 노력이 전통시장을 문화·예술시장으로 탄생시킨 것 같다”고 말했다.
○문화·예술시장으로 변신
대인시장도 빈 점포가 늘어나면서 손님이 줄고 썰렁해지는 등 여느 전통시장처럼 쇠락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대인시장은 2008년 예술인을 지원하는 광주비엔날레의 ‘복덕방 프로젝트’를 통해 달라지기 시작했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이 시장 내 10여곳에 설치미술을 선보이고 시장 곳곳에 벽화를 그리면서 시장은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해 나갔다. 현대미술과 전통시장의 결합이 호평을 받자 참여작가 중 5명은 아예 시장에 작업실을 마련하고 상인들과 동거를 시작했다. 지금은 작업실 25개와 작가 42명으로 규모가 늘어났다. 올초엔 주차타워 1개층을 개조해 작가 12명이 입주했다. 독일에서 유학하고 지난 4월 이곳에 공방을 낸 한옥건축가이자 천연염색작가 송호삼 씨는 “다양한 예술인들이 모여 협업을 하면서 예술적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사람냄새 물씬 나는 시장에서 영감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야시장에 6000명 찾아
대인시장은 매달 둘째주 금·토요일에 열리는 야시장도 인기다. 야시장은 ‘별밤에 열리는 시장’이라 불리는데 줄여서 ‘별장’이라고 한다. 2011년 작가들이 중심이 돼 시작한 야시장은 올 들어 하루 5000~6000명이 찾을 정도다. 상인들은 “매대 한 곳의 하룻밤 매출이 100만원을 넘는다”고 소개했다.
박종철 대인예술시장 별장프로젝트팀 사무국장은 “문화체육관광부 문전성시사업(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의 유일한 모델시장”이라며 “올해는 참여를 희망하는 일반인 판매자와 시장상인이 크게 늘어 야시장을 두 배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대인시장이 한층 더 성공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초기 작가들과 상인들의 활동시간이 달라 빚었던 갈등은 이제 없어졌다. 하지만 전국적인 시장으로 유명해지면서 임대료가 올라 짐을 싸는 작가가 생겨나고 있다.
박시훈 대인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단장은 “상인들도 사진 음악교실 등 예술 경험을 통해 시장운영에 문화·예술을 접목하고 있다”며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특색 상품을 개발해 광주를 대표하는 전국 최고의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진 전통시장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