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내놓은 교육과정 개편안에 대해 학계와 교육계가 ‘졸속 개편’이라며 반대하고 나섰다.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가 12일 충북 청주의 한국교원대에서 연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공청회에서 참석자들은 이번 개편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쏟아냈다. 현행 대입제도를 바꾸지 않는 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지정 토론자로 참석한 정진곤 한양대 교수는 “고등학교에서 문·이과 통합 과정을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대학이 고등학교 이수 과목별로 이공계와 인문·사회대 학생들을 구분해 선발하면 교육과정 개정은 의미가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도 “문제는 현재 교육과정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수학능력시험을 활용하는 방식”이라며 “수능시험 제도를 개편하는 것에 대한 고민 없이 교육과정을 바꾸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교육계는 진보, 보수 할 것 없이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개편 방향에는 공감하지만 수능시험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것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잦은 교육과정 개편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무엇보다 인성교육이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이 돼야 한다”며 “학교 현장 교사의 충분한 공감대 속에서 이뤄져야 교육과정 개편의 취지에 부합하고 교육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고 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일선 교사의 약 85%가 교육과정 개정 사실을 모른다”며 “2007년, 2009년, 2011년의 잇따른 교육과정 개정으로 학교 현장이 혼란스러워하는 만큼 기존 교육과정 적용과 평가가 끝나는 2019년 이후 진행해도 늦지 않다”고 했다.

과학계는 수업시간을 사회 과목과 동일하게 지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기술, 가정 교사들도 기술과 가정 과목을 생활·교양 영역에서 분리해 과학 교과군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과 학부모 의견을 수렴한 뒤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