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위성 3호, 우주 파편 충돌 피해
과학기술위성 3호(그래픽)가 우주를 떠도는 파편과 충돌할 위기를 간신히 모면했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13일 오후 5시께 아라비아반도 600㎞ 상공에서 옛 소련 기상위성 ‘메테오르(METEOR) 1-10’ 파편과 수십~수백m까지 근접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앞서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는 12일 오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 위성 충돌 위험을 처음 알려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항공우주연구소와 인공위성연구센터, 천문연구원과 함께 대응 체제를 갖추고 위성의 자세를 제어해 충돌 가능한 면적을 최소화하는 조치를 했다. 과학기술위성 3호에는 자세제어용 추력기만 있고 궤도를 바꾸는 추력기는 없어 충돌 예상 궤도 자체를 벗어나는 건 불가능했다.

미래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가 한반도 상공을 지난 13일 오후 9시18분 인공위성과 교신에 성공하며 안전 상태를 최종 확인했다. 지난해 11월 우주 궤도에 오른 과학기술위성 3호는 우주 관측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등 다양한 과학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우주 개발이 확대되면서 현재 지구 궤도에는 4000여개의 위성이 돌고 있다. 임무가 끝난 위성의 우주 잔해물이 늘어나면서 충돌 위험도 커지고 있다. 10㎝ 이상의 우주잔해물은 2만1000여개, 1㎝ 이상의 우주잔해물도 50만개 이상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에는 러시아 과학위성과 중국 위성 잔해물이 충돌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