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은 끌고 동생은 밀고…한국타이어, 영업이익률 글로벌 2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형 조현식, 글로벌 생산·마케팅…동생 조현범은 R&D 주력
매출 6위지만 수익률 최고 수준…공장 1곳서 年 1000만개 생산
300만개인 경쟁사보다 효율 높아
지속적 R&D로 품질 높여…초고성능 등 제품군 다양화
세계 25개 자동차업체에 공급
매출 6위지만 수익률 최고 수준…공장 1곳서 年 1000만개 생산
300만개인 경쟁사보다 효율 높아
지속적 R&D로 품질 높여…초고성능 등 제품군 다양화
세계 25개 자동차업체에 공급
형제간 역할 분담을 통해 경영효율을 개선하면서 한국타이어의 실적이 급격히 향상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상반기에 15%의 영업이익률을 기록, 세계 타이어업체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의 매출이 줄거나 제자리걸음인 상태에서 매출 증가도 두드러졌다.
조양래 회장의 장남인 조현식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지주회사) 사장은 2010년 경영사령탑에 올라 글로벌 생산 효율화를 꾀한 결과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1년 최고경영자에 오른 차남 조현범 한국타이어 사장은 지속적 연구개발로 ‘품질경영 체제’를 구축, 고객만족 경영을 주도하고 있다.
◆경쟁 업체보다 이익률 5%포인트 높아
타이어 전문 시장조사업체 타이어비즈니스가 지난 12일 발표한 ‘상반기 글로벌 타이어업체 실적 분석’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상반기 매출 32억3800만달러로 글로벌 6위를 차지했다. 1위는 143억3300만달러를 올린 브리지스톤(일본), 2위는 132억6800만달러를 달성한 미쉐린(프랑스)이 차지했다. 굿이어(미국) 콘티넨탈(독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타이어는 4억9600만달러의 영업이익을 올려 영업이익률(15.3%)에선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콘티넨탈(24.1%)이다. 매출 1위인 브리지스톤(13.7%)과 2위 미쉐린(12%) 등도 이익 창출 능력에선 한국타이어에 크게 뒤졌다. 비슷한 매출 규모(7위)인 일본 스미토모타이어도 영업이익률은 9.6%로, 경쟁 상대가 되지 못했다.
한국타이어는 상반기 매출도 6% 늘었다. 상위 1~5위 업체 가운데 미쉐린(-4.8%)과 굿이어(-6.4%), 피렐리(-3.3%) 등 세 곳은 매출이 줄고 브리지스톤(1.5%)과 콘티넨탈(1.8%)은 성장이 더딘 상황에서 외형을 키운 것이다. ◆규모의 경제로 수익성 개선
신정관 KB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국타이어는 규모의 경제와 품질이라는 두 가지 경쟁력을 동시에 갖춰 매출 성장과 수익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규모의 경제는 조현식 사장이 총괄하고 있다. 글로벌 타이어업체들은 공장 1개당 연간 생산량을 300만개 정도로 유지하되, 공장을 완성차업체 근처에 짓는 전략을 쓴다. 물류비를 아끼는 것이다. 미쉐린은 연간 생산량이 2억개로 한국타이어(1억1100만개)의 두 배 수준이지만 공장은 70여곳으로 한국타이어(7곳)의 열 배가 넘는다.
한국타이어는 정반대 전략을 쓰고 있다. 물류비가 더 들더라도 공장을 집적화하는 전략이다. 대전과 금산, 중국 자싱공장은 연간 생산량이 2000만개를 넘고 가장 작은 중국 장쑤공장도 1년에 950만개를 생산한다. 공장당 평균 1500만개로 해외 경쟁 업체(300개)의 5배 수준을 생산한다. 조현식 사장은 미국 테네시주에 8억달러를 투자해 연산 1100만개 규모의 신공장을 짓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고수익 제품 매출 비중 계속 높여
조현식 사장이 규모의 생산전략을 이끈다면 조현범 사장은 지속적인 연구개발(R&D)로 품질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런플랫 타이어나 초고성능(UHP), 트럭용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해 실적 안정성을 높인 것이다. 이 회사는 지난 7월 메르세데스벤츠의 신형 C클래스와 BMW 미니에 런플랫 타이어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펑크가 나도 모양을 유지해 시속 80㎞로 한 시간가량 달릴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는 ‘타이어 기술력의 척도’로 불린다. 또 UHP 타이어 매출 비중도 늘리고 있다. 매출에서 UHP 타이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10.3%에서 올 상반기 28.9%까지 높아졌다. 한국타이어는 독일 일본 미국 등 세계 25개 자동차메이커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
조양래 회장의 장남인 조현식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지주회사) 사장은 2010년 경영사령탑에 올라 글로벌 생산 효율화를 꾀한 결과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1년 최고경영자에 오른 차남 조현범 한국타이어 사장은 지속적 연구개발로 ‘품질경영 체제’를 구축, 고객만족 경영을 주도하고 있다.
◆경쟁 업체보다 이익률 5%포인트 높아
타이어 전문 시장조사업체 타이어비즈니스가 지난 12일 발표한 ‘상반기 글로벌 타이어업체 실적 분석’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상반기 매출 32억3800만달러로 글로벌 6위를 차지했다. 1위는 143억3300만달러를 올린 브리지스톤(일본), 2위는 132억6800만달러를 달성한 미쉐린(프랑스)이 차지했다. 굿이어(미국) 콘티넨탈(독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타이어는 4억9600만달러의 영업이익을 올려 영업이익률(15.3%)에선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콘티넨탈(24.1%)이다. 매출 1위인 브리지스톤(13.7%)과 2위 미쉐린(12%) 등도 이익 창출 능력에선 한국타이어에 크게 뒤졌다. 비슷한 매출 규모(7위)인 일본 스미토모타이어도 영업이익률은 9.6%로, 경쟁 상대가 되지 못했다.
한국타이어는 상반기 매출도 6% 늘었다. 상위 1~5위 업체 가운데 미쉐린(-4.8%)과 굿이어(-6.4%), 피렐리(-3.3%) 등 세 곳은 매출이 줄고 브리지스톤(1.5%)과 콘티넨탈(1.8%)은 성장이 더딘 상황에서 외형을 키운 것이다. ◆규모의 경제로 수익성 개선
신정관 KB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국타이어는 규모의 경제와 품질이라는 두 가지 경쟁력을 동시에 갖춰 매출 성장과 수익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규모의 경제는 조현식 사장이 총괄하고 있다. 글로벌 타이어업체들은 공장 1개당 연간 생산량을 300만개 정도로 유지하되, 공장을 완성차업체 근처에 짓는 전략을 쓴다. 물류비를 아끼는 것이다. 미쉐린은 연간 생산량이 2억개로 한국타이어(1억1100만개)의 두 배 수준이지만 공장은 70여곳으로 한국타이어(7곳)의 열 배가 넘는다.
한국타이어는 정반대 전략을 쓰고 있다. 물류비가 더 들더라도 공장을 집적화하는 전략이다. 대전과 금산, 중국 자싱공장은 연간 생산량이 2000만개를 넘고 가장 작은 중국 장쑤공장도 1년에 950만개를 생산한다. 공장당 평균 1500만개로 해외 경쟁 업체(300개)의 5배 수준을 생산한다. 조현식 사장은 미국 테네시주에 8억달러를 투자해 연산 1100만개 규모의 신공장을 짓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고수익 제품 매출 비중 계속 높여
조현식 사장이 규모의 생산전략을 이끈다면 조현범 사장은 지속적인 연구개발(R&D)로 품질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런플랫 타이어나 초고성능(UHP), 트럭용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해 실적 안정성을 높인 것이다. 이 회사는 지난 7월 메르세데스벤츠의 신형 C클래스와 BMW 미니에 런플랫 타이어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펑크가 나도 모양을 유지해 시속 80㎞로 한 시간가량 달릴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는 ‘타이어 기술력의 척도’로 불린다. 또 UHP 타이어 매출 비중도 늘리고 있다. 매출에서 UHP 타이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10.3%에서 올 상반기 28.9%까지 높아졌다. 한국타이어는 독일 일본 미국 등 세계 25개 자동차메이커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