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금호산업 지분 연내 매각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워크아웃 종료전 매각키로
박삼구 회장, 우선매수권 있어
제주ICC 관련 소송이 변수
박삼구 회장, 우선매수권 있어
제주ICC 관련 소송이 변수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인 금호산업에 대해 연내 매각을 추진한다.
채권단은 18일 서울 금호산업 본사에서 이 회사에 대해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금호산업은 경영정상화가 상당히 이뤄져 매각을 검토할 시점이 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금호산업은 워크아웃에 들어갔을 때 채무가 4조원 규모였지만, 출자전환 등을 통해 현재는 4500억원만 남아 있다. 회의에 참석한 채권단은 전체 76개 채권자 가운데 금호산업 주식을 보유한 26개사다. 이들은 전체 지분의 57.6%를 갖고 있다.
채권단은 금호산업을 매각한다면 워크아웃 졸업 이전에 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관계자는 “워크아웃 종료 후에 매각하면 소액주주에 대한 공개매수 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전에 매각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채권단은 금호산업이 아시아나항공 주식 30%를 보유한 대주주여서 인수합병(M&A) 시장의 ‘대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금호터미널의 모회사이고 금호터미널은 다시 금호고속의 우선매수권까지 갖고 있다. 하지만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지분율 10.5%)이 우선매수권을 갖고 있어 새 주인이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
가장 큰 문제는 제주ICC 관련 소송이다. 금호산업이 제주ICC 시공을 맡으면서 책임준공협약을 맺어 이 사업에 돈을 빌려준 대주단에 600억원 정도를 돌려줘야 할 수도 있어서다. 1심에서 패했고 항소심 결과가 26일 나온다.
채권단 관계자는 “재판에서 지면 유사 소송이 생겨나 추가 채무가 생길 수 있어 매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매각 추진이 회의에서 확정된 것은 아닌 만큼 매각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박종서/장창민/좌동욱 기자 cosmos@hankyung.com
채권단은 18일 서울 금호산업 본사에서 이 회사에 대해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금호산업은 경영정상화가 상당히 이뤄져 매각을 검토할 시점이 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금호산업은 워크아웃에 들어갔을 때 채무가 4조원 규모였지만, 출자전환 등을 통해 현재는 4500억원만 남아 있다. 회의에 참석한 채권단은 전체 76개 채권자 가운데 금호산업 주식을 보유한 26개사다. 이들은 전체 지분의 57.6%를 갖고 있다.
채권단은 금호산업을 매각한다면 워크아웃 졸업 이전에 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관계자는 “워크아웃 종료 후에 매각하면 소액주주에 대한 공개매수 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전에 매각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채권단은 금호산업이 아시아나항공 주식 30%를 보유한 대주주여서 인수합병(M&A) 시장의 ‘대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금호터미널의 모회사이고 금호터미널은 다시 금호고속의 우선매수권까지 갖고 있다. 하지만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지분율 10.5%)이 우선매수권을 갖고 있어 새 주인이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
가장 큰 문제는 제주ICC 관련 소송이다. 금호산업이 제주ICC 시공을 맡으면서 책임준공협약을 맺어 이 사업에 돈을 빌려준 대주단에 600억원 정도를 돌려줘야 할 수도 있어서다. 1심에서 패했고 항소심 결과가 26일 나온다.
채권단 관계자는 “재판에서 지면 유사 소송이 생겨나 추가 채무가 생길 수 있어 매각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매각 추진이 회의에서 확정된 것은 아닌 만큼 매각이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박종서/장창민/좌동욱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