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한국전력 이외의 상장사들이 건물·토지·기계설비 등 유형자산을 처분한 규모는 모두 2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올해 유형자산 처분 사실을 공시한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이들 회사가 처분한 유형자산 규모는 약 1조844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사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유형자산을 처분하는 경우가 많지만, 올해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도 상당수 건물과 토지 등을 매각했다.

올해 유형자산 처분 사실을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는 모두 14개사다. 이들 기업이 매각한 유형자산 처분금액은 1조4760억원 수준이다. 코스닥시장에서는 20개 회사가 유형자산을 처분했으며 금액은 3680억원이다.

이들 가운데 처분한 유형자산 규모가 가장 큰 상장사는 롯데쇼핑이다. 롯데쇼핑은 6월 백화점(일산점·상인점)과 마트(부평점·구미점·고양점·당진점·평택점)의 건물과 토지 등 모두 6017억원 상당의 유형자산을 KB자산운용에 매각했다. 점포를 팔고 재임차하는 '세일 앤 리스백' 방식으로 자산을 유동화했다.

한국화장품도 종로구 소재 서린빌딩을 837억원에 재단법인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에 팔았다. 또 한국화장품은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대구지점 사옥 토지와 건물도 57억원에 처분해 모두 894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그밖에 한진중공업(3264억원), 대성산업(1842억원), 동양네트웍스(563억원) 등 재정난에 시달리는 기업도 보유하고 있던 토지와 시설 등을 처분해 재무구조 개선에 나섰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