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서 실제로 없는 오아시스나 야자수가 주인공의 눈앞에 나타나는 ‘신기루’ 현상은 지금은 영화의 한 장면에 그치지 않지요. 무더운 여름철이면 TV 카메라가 이를 잡아 시청자들에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흔해 빠진 장면이지만 구경 한 번 더 하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굉장히 먼 거리에 떨어진 자동차를 조영우 경기북과학고 교사가 촬영한 건데요. 이에서 아스팔트 위를 달려오는 자동차가 갓길에 주차한 자동차와 마치 나란히 서 있는 듯이 보입니다.
/신기루 현상=KAIST 제공
이는 물체가 실제 위치가 아닌 곳에서 보이는 현상을 일컫는 신기루 (대기 굴절)에서 비롯하는데요. 지표면 가까운 공기층의 ‘큰’ 온도차로 인한 공기밀도의 변화로 빛이 꺾이기 (굴절) 때문이라고 과학자들은 설명합니다. 대기의 온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을 때 하늘하늘한 현상은 아지랑이라고 부릅니다.
이같은 신기루 현상의 원리를 적용한 최첨단 광학 렌즈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풀 네임을 쓰면 ‘테라헤르츠파 굴절률 분포형 렌즈’라고 하는데 세계 최초란 타이틀이 달렸습니다. 주인공은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의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기훈, 물리학과 안재욱 교수 연구팀 입니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미국물리협회가 발간하는 국제적 권위의 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 Applied Physics Letter’에 9월자 특집 논문으로 실리면서 표지 [제1저자 박상길 박사과정]를 장식했습니다.
KAIST에 따르면 연구팀의 개발품에서 등장하는 용어 가운데 테라헤르츠파 Terahertz Wave는 100G (기가=10∧9)Hz ~ 30T(테라=10∧12)Hz 대역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일컫습니다,
또 굴절률 경사 Gradient Refractive Index는 물질의 굴절률이 공간에서 연속해 달리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밀도 등 차이로 발생하는데 신기루 현상이 대표적으로 꼽힙니다. 빛은 굴절률 경사를 갖는 것을 통과할 때 굴절률이 높은 곳으로 꺾이는 특성을 갖는다고 합니다.
KAIST 연구팀이 이번에 처음 개발한 테라헤르츠파 굴절률 분포형 렌즈는 기존 카메라 렌즈를 가공하는데 따른 단점을 극복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기존 렌즈는 실리콘 소재를 곡면으로 가공해 만드는데 비해 이 렌즈의 경우 평평한 실리콘 웨이퍼 소재로 반도체 양산공정으로 제작합니다.
이 차이 덕분에 제작 비용을 100분의 1 수준으로 낮추고 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물론 기존 렌즈보다 광원 추출효율이 4배 가량 높다는 게 연구팀의 얘기고요. “이 첨단 렌즈의 쓰임새가 어디냐고요?”
렌즈 이름에 붙은 테라헤르츠파 Terahertz Wave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어 X선처럼 물체 내부를 높은 해상도로 정확히 파악해 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보안검색 같은 비파괴 검사 도구나 의료용 진단기기에 응용됩니다. 이번 개발로 이들 제품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전망입니다.
정기훈 교수는 “테라헤르츠파의 경우 그동안 넓은 대역의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사라지는 (손실) 파장의 비율이 높았다”고 했습니다. 까닭에 이 파장을 효율성 높게 집중시킬 수 있는 광학소자 개발이 과학계의 현안으로 꼽혔습니다.
/테라헤르츠 광굴절 렌즈의 원리
연구팀은 이를 위해 평평한 실리콘에 테라헤르츠파 파장 (약300㎛) 보다 작은 80~120㎛ 크기의 구멍을 반도체 양산방법인 광식각공정으로 제작했습니다. 렌즈 가장자리로 갈수록 홀 사이즈는 크게 설계했고요.
그 뒤 테라헤르츠파를 쬐자 공기와 실리콘 중 공기 비율이 높은 가장자리는 굴절률이 낮았고 상대적으로 공기의 비율이 낮은 가운데는 굴절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평평한 소재에 공학적인 광학 특성을 접속하는 식으로 설계해 빛을 모으는 볼록렌즈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한 것입니다.
정기훈 교수는 이번 연구의 의의로 “자연현상에서 착안해 자연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메타물질’을 처음 창조한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물질적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광학소자개발이 더딘 테라헤르츠파 기술 진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백악관에 초대한다. 트럼프 대통령과 황 CEO의 만남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과 황 CEO가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를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대(對)중국 AI 칩 수출 제한 강도 더 높일 듯로이터통신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황 CEO를 만나 대(對)중국 인공지능(AI) 칩 수출에 대한 추가 제재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딥시크 충격'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대중국 수출규제를 저가칩까지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온 지 이틀만이다.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회동에서 올봄부터 발효되는 새 규정에 따라 AI칩 수출을 더 제한하고 미국과 동맹국의 첨단 컴퓨팅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엔비디아의 저사양 칩 'H20'이 대중 수출 추가 제한 품목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통제에 따라 저사양으로 개발해 출시한 제품이다. 딥시크의 AI 모델이 엔비디아의 저사양 칩을 활용해 개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이 이마저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된다.통신은 트럼프 행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딥시크가 중국으로 배송이 허용되지 않는 미국산 칩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미 상무부가 조사하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황 CEO는 지난 8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인을 만나 차기 행정부에 도움을 줄 준비가 돼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면 기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어 어떤 형식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백악관에서 만난다.로이터통신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황 CEO를 만나 대(對)중국 인공지능(AI) 칩 수출에 대한 추가 제재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바이넥스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상업용 항체의약품 생산 허가를 받았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에스티그룹에 이어 국내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서는 네 번째 FDA 허가다.31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FDA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앱토즈마에 대해 셀트리온에 품목허가를, 바이넥스에 생산 허가를 각각 냈다. 앱토즈마는 셀트리온이 스위스 로슈의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악템라를 통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로,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허가를 받았다. 바이넥스는 앱토즈마의 위탁생산(CMO)을 맡아 지난 2년간 셀트리온과 생산 공정을 준비해왔다. FDA 조사관은 지난해 6월 바이넥스의 인천 송도와 충북 오송 공장을 방문해 실사했다.바이넥스는 FDA와 유럽의약품청(EMA)에서 제조 인증(cGMP)을 받은 아시아 유일의 중소 CDMO 기업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연 매출 1500억원 규모인 바이넥스는 앱토즈마 하나만으로 연 1600억원 이상의 신규 매출이 예상된다. 증권업계가 이 회사의 올해 매출을 작년보다 60% 오른 2410억원으로 추정한 이유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향후 미국의 대(對)중국 바이오 규제가 강화되면 미국과 유럽의 제조 인증을 받은 바이넥스의 몸값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1958년 순천당제약으로 출범한 바이넥스는 삼성바이오로직스보다 2년 앞선 2009년 국내 처음으로 CDMO 사업을 시작했다. 이혁종 바이넥스 대표는 “연내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 대규모 수주가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안대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