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최대 큰손' 급부상…日 공적연금펀드에 무슨일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최대 연기금 GPIF, 4개월 간 2조 넘게 사들여
"수익률 높이자" 개혁 단행…주식투자 비중 두배로 늘려
'와타나베 부인'도 온라인 통해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형株 직구
"수익률 높이자" 개혁 단행…주식투자 비중 두배로 늘려
'와타나베 부인'도 온라인 통해 삼성전자·현대차 등 대형株 직구
세계 최대 연기금인 일본 공적연금펀드(GPIF)가 국내 주식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했다. 지난 4개월(5~8월)간 2조2665억원어치의 국내 주식을 순매수하며 단숨에 가장 큰 외국인 매수 세력으로 떠올랐다. GPIF가 지난 4월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국내외 주식투자 비중을 확대하면서 한국 주식도 늘리고 나선 데 따른 결과다. 올 상반기까지 국내주식을 쓸어 담은 ‘차이나 머니’가 잠시 주춤한 사이 일본이 새로운 매수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GPIF, 외국인 큰손 1위 부상
28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주식 매수세를 이끈 일본 자금의 정체는 GPIF인 것으로 확인됐다. GPIF는 1조2400억달러(약 1287조원) 규모의 자금을 굴리는 일본 국민연금이다.
국 내에 외국인 투자 등록을 한 일본 자금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2조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지난 10년간 최대 규모의 자금 유입이다. 이 기간 일본 기관투자가들은 국내 주식을 매도했으나 GPIF가 이를 뛰어넘는 금액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GPIF는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수액(8조2047억원)의 27.6%를 차지하며 단일 매수주체로는 압도적인 1위로 떠올랐다.
GPIF의 이 같은 움직임은 국내외 주식투자 비중을 확대한다는 자체 포트폴리오 변화의 일환이다. GPIF는 과거 10년간 수익률이 평균 3.16%로 주요국 공적기금의 절반 수준에 머물자 지난 4월부터 자국 채권을 팔고 주식매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채권 비중을 종전 71%에서 35%로 줄이되 주식은 24%에서 50%, 대체투자는 5%에서 15%로 각각 늘리기로 했다.
GPIF가 해외투자를 계속 확대할 계획이어서 일본 자금의 국내 유입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GPIF와 같은 일본 공적연금펀드가 운용자산의 50%까지 주식 비중을 높일 경우 추가 주식매수 여력은 3360억달러(347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노아람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GPIF는 MSCI 신흥국지수를 추종하고 있는데, 신흥국 투자 비중을 1%만 확대해도 국내 유입자금이 추가로 19억달러(1조9000억원) 늘어날 것”이라며 “GPIF가 국내 주식시장의 안정적인 매수주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평가된 대형주에 관심 높여
국내 증시로 유입된 일본 자금은 주로 대형주에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본적으로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데다 최근 들어선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요 종목의 주가가 내리면서 투자 매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와타나베 고이치 다이와증권 상무는 “일본 자금은 특정 업종이나 종목을 매수하기보다 지수와 연계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와타나베 부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일본 개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일본 주식시장에 정통한 증권사의 주식영업담당 임원은 “일본 온라인 브로커들이 최근 한국 등 신흥국시장 주식을 활발하게 매매하고 있다”며 “이달 들어선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가가 많이 빠진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 주문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28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주식 매수세를 이끈 일본 자금의 정체는 GPIF인 것으로 확인됐다. GPIF는 1조2400억달러(약 1287조원) 규모의 자금을 굴리는 일본 국민연금이다.
국 내에 외국인 투자 등록을 한 일본 자금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2조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지난 10년간 최대 규모의 자금 유입이다. 이 기간 일본 기관투자가들은 국내 주식을 매도했으나 GPIF가 이를 뛰어넘는 금액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GPIF는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수액(8조2047억원)의 27.6%를 차지하며 단일 매수주체로는 압도적인 1위로 떠올랐다.
GPIF의 이 같은 움직임은 국내외 주식투자 비중을 확대한다는 자체 포트폴리오 변화의 일환이다. GPIF는 과거 10년간 수익률이 평균 3.16%로 주요국 공적기금의 절반 수준에 머물자 지난 4월부터 자국 채권을 팔고 주식매수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채권 비중을 종전 71%에서 35%로 줄이되 주식은 24%에서 50%, 대체투자는 5%에서 15%로 각각 늘리기로 했다.
GPIF가 해외투자를 계속 확대할 계획이어서 일본 자금의 국내 유입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GPIF와 같은 일본 공적연금펀드가 운용자산의 50%까지 주식 비중을 높일 경우 추가 주식매수 여력은 3360억달러(347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노아람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GPIF는 MSCI 신흥국지수를 추종하고 있는데, 신흥국 투자 비중을 1%만 확대해도 국내 유입자금이 추가로 19억달러(1조9000억원) 늘어날 것”이라며 “GPIF가 국내 주식시장의 안정적인 매수주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평가된 대형주에 관심 높여
국내 증시로 유입된 일본 자금은 주로 대형주에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본적으로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데다 최근 들어선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요 종목의 주가가 내리면서 투자 매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와타나베 고이치 다이와증권 상무는 “일본 자금은 특정 업종이나 종목을 매수하기보다 지수와 연계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와타나베 부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일본 개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일본 주식시장에 정통한 증권사의 주식영업담당 임원은 “일본 온라인 브로커들이 최근 한국 등 신흥국시장 주식을 활발하게 매매하고 있다”며 “이달 들어선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가가 많이 빠진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 주문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