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99% 항균' 스마트폰용 터치패널 나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값싼 아연 나노입자 활용
윤순길 충남대 교수팀 개발
윤순길 충남대 교수팀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아연 나노입자를 활용해 값이 싸면서도 항균 능력이 탁월한 스마트폰용 터치패널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윤순길 충남대 재료공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28일 발표했다.
사람들이 수시로 만지는 스마트폰 터치패널은 각종 세균에 오염되기 쉽다. 이를 제거하고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항균 특성이 있는 은 나노입자를 코팅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하지만 은 나노입자는 투명한 유리와의 접착력이 약해 반복적으로 접촉하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은 나노입자보다 가격이 싸면서도 항균 특성을 가진 아연 나노입자를 활용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항균 유리패널을 개발했다. 이 유리패널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99.99%의 항균 효과를 보였다.
반복된 터치에 대한 저항력 강화를 위해 나노입자와 유리 사이에 티타늄 나노입자를 넣어 2000번 이상 터치해도 90%가 넘는 투명도를 유지하도록 했다. 윤 교수는 “2~3년 내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사람들이 수시로 만지는 스마트폰 터치패널은 각종 세균에 오염되기 쉽다. 이를 제거하고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항균 특성이 있는 은 나노입자를 코팅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하지만 은 나노입자는 투명한 유리와의 접착력이 약해 반복적으로 접촉하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은 나노입자보다 가격이 싸면서도 항균 특성을 가진 아연 나노입자를 활용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항균 유리패널을 개발했다. 이 유리패널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99.99%의 항균 효과를 보였다.
반복된 터치에 대한 저항력 강화를 위해 나노입자와 유리 사이에 티타늄 나노입자를 넣어 2000번 이상 터치해도 90%가 넘는 투명도를 유지하도록 했다. 윤 교수는 “2~3년 내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