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 길게 보면 지금이 들어갈 시기"-신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금융투자는 29일 금호석유에 대해 수익 예상을 조정해 목표주가를 11만 원에서 9만5000원으로 내린다면서도 길게 봐선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분석했다.
합성고무 업황 회복과 유틸리티 부문 증설이 이루어지면 중장기실적은 크게 나아질 수 있단 이유에서다.
이응주 연구원은 "3분기 금호석유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9.6% 증가한 496억 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합성고무 시황은 여전히 부진하지만 전분기 적자에서는 벗어나 소폭 흑자를 시현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페놀 유도체의 경우 주력 제품인 BPA(IT용 기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인 PC의 주원료)가격 상승에 힘입어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성고무 시황은 단기에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전방 산업인 타이어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반면 지난 2~3년 간 중국에서 합성고무가 대규모로 증설되는 등 수급 불균형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월에서 7월까지 중국 타이어 생산은 16% 증가했지만 합성고무 순수입은 전년 동기보다 5% 이상 감소했다. 대체재인 천연고무 가격도 2009년 금융위기 직후 수준까지 폭락했다.
이 연구원은 그러나 합성고무 수급 균형만 회복된다며 5~8%의 마진이 가능해 중장기 실적은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진단했다.
내년부턴 중국의 고무 체인 증설이 많지 않은데다 교체수요를 감안할 때 글로벌 타이어 수요는 회복될 것이란 전망.
내년 말 유틸리티 부문(전기 및 스팀 판매)이 증설되면서 이 부문 영업이익도 1000억 원 전후에서 200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이라 봤다.
이 연구원은 "중장기 관점에서 현재 주가(자사주 제외 시가총액 1조9000억 원)는 매우 낮다"며 "2016년 영업이익 5000억 원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
합성고무 업황 회복과 유틸리티 부문 증설이 이루어지면 중장기실적은 크게 나아질 수 있단 이유에서다.
이응주 연구원은 "3분기 금호석유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9.6% 증가한 496억 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합성고무 시황은 여전히 부진하지만 전분기 적자에서는 벗어나 소폭 흑자를 시현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페놀 유도체의 경우 주력 제품인 BPA(IT용 기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인 PC의 주원료)가격 상승에 힘입어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성고무 시황은 단기에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전방 산업인 타이어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반면 지난 2~3년 간 중국에서 합성고무가 대규모로 증설되는 등 수급 불균형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월에서 7월까지 중국 타이어 생산은 16% 증가했지만 합성고무 순수입은 전년 동기보다 5% 이상 감소했다. 대체재인 천연고무 가격도 2009년 금융위기 직후 수준까지 폭락했다.
이 연구원은 그러나 합성고무 수급 균형만 회복된다며 5~8%의 마진이 가능해 중장기 실적은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진단했다.
내년부턴 중국의 고무 체인 증설이 많지 않은데다 교체수요를 감안할 때 글로벌 타이어 수요는 회복될 것이란 전망.
내년 말 유틸리티 부문(전기 및 스팀 판매)이 증설되면서 이 부문 영업이익도 1000억 원 전후에서 200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이라 봤다.
이 연구원은 "중장기 관점에서 현재 주가(자사주 제외 시가총액 1조9000억 원)는 매우 낮다"며 "2016년 영업이익 5000억 원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