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 4가 독감백신 임상3상 계획 승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녹십자는 유정란 배양 방식 4가 독감백신의 임상3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30일 밝혔다. 4가 독감백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임상3상까지 마치면, 제품허가 신청이 가능하다.
녹십자는 이달 초 세포배양 기술을 활용한 4가 독감백신 임상시험에도 착수한 바 있다.
4가 독감백신은 4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1회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백신이다. 일반적으로 3가 독감백신으로도 충분한 면역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함께 유행하고 두 가지의 B형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4가 독감백신 접종이 권고되는 추세란 설명이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독감백신은 3가지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3가 백신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사용되는 25개 소아용 및 성인용 독감백신 중 10여개의 제품이 4가 백신이다. 미국 시장에 지난해부터 4가 독감백신이 공급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4가 독감백신은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독감백신 제조에는 유정란을 이용한 방식과 세포배양 방식이 있다. 세포배양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한 전통방식에 비해 생산기간이 짧다.이에 따라 인플루엔자 판데믹(전염병 대유행)과 같이 백신공급이 빨리 필요한 시기에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녹십자는 두 가지 방식 모두를 개발해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운영하고 있는 유정란 배양 방식과 판데믹, 조류독감과 같은 외부 위험요인으로 인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세포배양 방식도 같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안동호 녹십자 종합연구소 상무는 "녹십자의 4가 독감백신 개발은 4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녹십자는 지난 몇 년간 독감백신 국내 유일 생산시설이라는 독보적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공략했다. 지난해 녹십자 독감백신 수출액은 280억원에 달했고, 올해는 400억원 수출을 예상하고 있다.
국제기구 독감 백신 입찰 자격은 세계를 통틀어 네 곳이 갖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녹십자가 유일하다. 다인용과 1인용 모두 국제기구에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사노피와 녹십자 두 곳 뿐이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녹십자는 이달 초 세포배양 기술을 활용한 4가 독감백신 임상시험에도 착수한 바 있다.
4가 독감백신은 4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1회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백신이다. 일반적으로 3가 독감백신으로도 충분한 면역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함께 유행하고 두 가지의 B형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4가 독감백신 접종이 권고되는 추세란 설명이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독감백신은 3가지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3가 백신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사용되는 25개 소아용 및 성인용 독감백신 중 10여개의 제품이 4가 백신이다. 미국 시장에 지난해부터 4가 독감백신이 공급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4가 독감백신은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독감백신 제조에는 유정란을 이용한 방식과 세포배양 방식이 있다. 세포배양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한 전통방식에 비해 생산기간이 짧다.이에 따라 인플루엔자 판데믹(전염병 대유행)과 같이 백신공급이 빨리 필요한 시기에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녹십자는 두 가지 방식 모두를 개발해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운영하고 있는 유정란 배양 방식과 판데믹, 조류독감과 같은 외부 위험요인으로 인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세포배양 방식도 같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안동호 녹십자 종합연구소 상무는 "녹십자의 4가 독감백신 개발은 4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녹십자는 지난 몇 년간 독감백신 국내 유일 생산시설이라는 독보적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공략했다. 지난해 녹십자 독감백신 수출액은 280억원에 달했고, 올해는 400억원 수출을 예상하고 있다.
국제기구 독감 백신 입찰 자격은 세계를 통틀어 네 곳이 갖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녹십자가 유일하다. 다인용과 1인용 모두 국제기구에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사노피와 녹십자 두 곳 뿐이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