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당선자 573명 재산등록 보니…광역단체장 평균 재산 22억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새로 선출된 공직자 573명의 평균 재산은 10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신임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은 모두 서울 등 수도권에 자가 또는 전셋집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6·4 지방선거 신규 당선자 573명의 재산 등록 사항을 30일자 관보에 게재했다. 이번 공개 대상자는 6·4 지방선거에서 새로 당선돼 재산 등록 의무가 발생한 광역지자체장 11명, 교육감 8명, 기초지자체장 92명, 광역의회 의원 462명이다. 재선에 성공한 지자체장과 광역의원 480명은 지난 3월 재산을 공개해 이번 공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새로 취임한 광역지자체장 11명의 평균 재산은 22억3000만원이고, 시·도교육감은 3억5500만원이었다. 기초지자체장은 10억7200만원, 광역의회 의원은 10억6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시·도지사 중 김기현 울산시장이 67억4673만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았다. 지난 3월 공개된 시·도지사 6명을 포함해도 재산이 가장 많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8억65만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적었다. 신임 시·도지사 11명 모두 서울 등 수도권에 자가 또는 전셋집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非)수도권 시·도지사 9명 중 8명은 서울에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자가 또는 전세로 보유하고 있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경기 과천시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교육감 중에선 이재정 경기교육감이 9억9505만원으로 1위였고,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자산보다 채무가 더 많아 -5억6485만원을 신고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4억963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새로 당선된 시장·군수·구청장 중 박우정 전북 고창군수는 87억234만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았다. 132억6336만원을 신고한 성중기 서울시의회 의원은 신규 광역의원뿐 아니라 이번 재산 신고를 통틀어 재산 총액 1위에 올랐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