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접구매(직구) 시장 규모가 연간 1조원을 돌파함에 따라 국내 물류업계가 항공·해상 복합운송능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 국내제품을 해외 구매자에게 직접 파는 '역직구 시장'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일 '물류산업 트렌드 변화와 물류기업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경쟁 심화로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물류업계가 성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1조원 시대를 연 해외직구 시장을 새로운 성장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직구는 건수로 1116만건, 금액으로 1조1029억 원에 달해 사상 최대였다.

올해도 8월 기준으로 988만건에 1조원을 돌파해 지난해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의는 물류업계가 해외직구 물량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항공운송과 해상운송을 동시에 운영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현재 해외직구 물량의 99.5%는 항공으로 운송되지만,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거나 유행에 덜 민감한 품목인 가전제품·가구류·완구류 등은 해상운송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의는 "해상운송이 항공운송보다 약 60%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며 "유행에 민감한 의류·패션잡화 등은 항공운송을, 배송일에 구애받지 않는 제품은 해상운송을 이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상의는 중국·동남아시아 등을 대상으로 역직구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직구란 해외 구매자가 국내 쇼핑몰에서 국내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입장에선 해외직구가 수입, 역직구가 수출인 셈이다.

지난해 중국의 해외직구 규모는 우리나라의 35배에 달하는 352억 달러(약 37조 원)에 달했다.

2018년에는 거의 4배인 1200억 달러(약 126조 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상의는 "한류 영향으로 국내제품 역직구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특히 화장품·유아식품 등에 대한 중국인들의 선호도가 높고 지리적으로도 가까워 중국 중심의 역직구 시장이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