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연축동 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대형 상황판에 나타나는 한강 금강 낙동강 등 전국 주요 강과 하천의 강수량 및 수위를 살펴보고 있다.
대전 연축동 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대형 상황판에 나타나는 한강 금강 낙동강 등 전국 주요 강과 하천의 강수량 및 수위를 살펴보고 있다.
[공기업 혁신] 안전 넘어 '건강한 물' 공급…패러다임 大전환
1967년 창립 이래 국내 유일의 물 관리 공기업으로 공공복지 증진에 기여해 온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올해를 ‘스마트(SMART) 신경영’ 원년으로 선포하고 ‘미래 물 관리 혁신방안’ 실천에 나섰다. 안전하고 깨끗한 물 공급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인체에 건강한 물 공급으로 물 관리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우선 수질과 생태를 고려한 건강한 물 보존, 수자원시설 이용 효율 극대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한 물관리인 ‘통합 물관리’를 추진할 방침이다. 첨단기술과 최신정보를 활용해 하천의 발원점에서 바다까지의 수량, 수질, 생태, 문화를 고려한 물 관리도 포함된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원수에서 수도꼭지까지 ‘스마트 워터 그리드’도 실현한다. 물 공급 전 과정에서 수량과 수질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그 결과를 국민이 확인할 수 있는 선진 물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또 유해물질 제거에 초점을 맞춘 그동안의 소극적인 물 공급 방향을 앞으로는 몸에 이로운 미네랄 등을 잘 보존할 수 있는 처리 공정으로 개선해 ‘건강한 물’을 공급하겠다는 의지도 담았다. 하천의 녹조 발생 억제를 통해 ‘물의 안전성’도 확보키로 했다. 댐과 보의 안전뿐만 아니라 하천 수질과 녹조 문제 등에 수자원공사가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는 목표다. 기존의 제한적 사후 대응체계에서 적극적 예방 활동으로 녹조대응 체계를 전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물 정보를 수집, 가공, 표준화해 국민에게 개발형으로 제공하는 ‘물 정보 통합’도 나선다. 부서와 사업별로 개별적 시스템화에 치중해온 데이터를 통합하고 공개해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적 책임에도 힘쓰기로 했다. 소외지역과 도서지역, 농어촌지역 등 이른바 물 부족 지역에 광역상수도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취수원 개발을 지원하는 등 ‘물 복지 확대’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해수담수화와 지하수댐, 물재이용, 빗물 활용 등 다양한 대체수원을 지속해서 발굴할 계획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친환경적 소규모 댐 건설을 통한 물그릇 확보도 포함됐다. 수자원, 토목, 환경 분야 전문가로 수자원공사를 이끌고 있는 최계운 사장은 “물 관리 패러다임의 근본적 혁신으로 국내외 물 문제 해결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모든 국민이 건강한 물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