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감정 인식 로봇 ‘페퍼’가 16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소프트뱅크벤처스 포럼’에서 선보였다. 일본 정보기술(IT) 기업 소프트뱅크가 만든 페퍼는 지난 6월 공개됐으며 국내에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페퍼는 사람의 표정과 목소리를 통해 감정을 인식, 상황에 맞는 대화를 할 수 있다.
일본이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주도로 ‘사무라이 반도체’ 부활에 속도를 내는 사이 가뜩이나 취약한 한국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경쟁력은 수직 하락하고 있다.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이 최근 발간한 ‘AI 시대 팹리스 등 시스템반도체 성장 전략’ 연구서에 따르면 한국의 세계 시스템반도체 시장 매출 점유율은 2023년 2.3%에서 올해 2%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7년엔 1.6%로 예상됐다. 미국 점유율이 2023년 72%에서 2027년 73.9%, 대만 점유율은 같은 기간 7.7%에서 8.1%로 늘어나는 것과 대비된다.한국 팹리스 업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23년 1%에서 2027년 0.8%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진은 전문 인력 미비를 부진 원인으로 꼽았다.일본이 소프트뱅크를 활용해 반도체 부활 기회를 엿보는 것은 인공지능(AI)이 반도체산업 지형을 빠르게 바꾸고 있어서다. 인텔, AMD 등 전통 강자가 몰락하고 Arm을 비롯해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신흥 강자가 시장을 재패하고 있다. AI가 에지 디바이스(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가전 등)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구글 등 빅테크가 자체 칩을 만드는 데 주력하는 것도 예전과 달라진 환경이다.이런 이유로 손 회장은 반도체 설계 회사를 사들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인수 막판에 다다른 암페어는 인텔 임원 출신인 르네 제임스가 2017년 설립한 회사로 고성능컴퓨팅(HPC)과 AI 데이터센터 시장을 타깃으로 한 저전력 설계에 강점을 가진 팹리스 기업이다. 미 금융·투자 전문 플랫폼 벤징가는 “소프트뱅크가 암페어를 인수하면 (반도체 설계) Arm이 기술 라이선스 제공 업체에서 반도체 칩 제조 업체로 진화하
영국 Arm, 대만 TSMC, 네덜란드 ASML. 세 기업의 공통점은 반도체산업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더라도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기반을 갖췄다는 것이다. 각각 설계, 파운드리(수탁 생산), 첨단 노광 장비 분야에서 압도적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의 굳건한 인프라 역할을 하고 있다.인공지능(AI)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세 회사 입지는 더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성능, 저전력 반도체 제조에 필수여서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2030년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전력량은 미국 전역의 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3%에서 세 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이다.세계에서 유일하게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를 생산하는 ASML만 해도 AI 시대 최대 수혜자다. 반도체 선폭을 나노 단위로 계속 줄여 칩 성능을 개선하려면 EUV가 필요하다. 미국 정부가 EUV 중국 수출 금지령을 내린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ASML EUV를 중국의 추격 속도를 늦출 마지막 방파제로 보고 있다.TSMC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칩 최대 공급사인 엔비디아가 생산을 맡기는 유일한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이다. 파운드리 분야에선 2위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 반도체 전문가들은 3사가 선택과 집중으로 독보적 기술을 확보해 다른 기업이 따라오지 못할 플랫폼을 구축한 게 최대 장점이라고 분석한다.케임브리지=강경주 기자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Arm 신사옥에는 구내식당이 없다. 본사 직원 2000여 명은 200m를 족히 넘는 것 같은 중앙홀과 복도, 사무실 곳곳에 삼삼오오 모여 점심을 먹는다. 지난해 12월 케임브리지 Arm 본사를 방문한 때가 마침 점심 무렵이었다. 리처드 그리즌스웨이트 총괄부사장 안내로 본사를 취재하는데 요리 냄새가 코를 찔렀다. 영국인이 즐겨 먹는 ‘커드(Cod·대구)&칩스’였다. 위에서 내려다본 중앙홀의 열기는 대단했다. 수백 명이 웅성거리며 뿜어내는 아이디어의 향연은 Arm의 경쟁력을 상징하는 듯했다. 그리즌스웨이트 부사장은 “Arm에서는 토론이 자연스러운 문화”라며 “자기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검증받으며 보완해 재창조하는 문화가 Arm의 힘”이라고 말했다. ○ ‘전기 먹는 하마’ 해결사일반인에겐 생소하지만 반도체업계에선 Arm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 세계 스마트폰 칩의 99%가 Arm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Arm은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가 설계도를 만들 때 필요한 기초 설계를 제공한다. 팹리스와 빅테크 등 고객사는 기초 설계도 수천 장 가운데 목적에 맞는 것을 구매해 이를 다듬어 설계를 완성한다. 이와 관련한 Arm 특허는 6800개에 달한다. 로열티 매출이 대부분인 Arm의 영업이익률은 96%(2023회계연도 기준)다.Arm 출범 시기는 1990년으로 알려졌지만, Arm은 창업 연도를 1978년으로 강조한다. 전신인 에이콘컴퓨터가 케임브리지에 설립된 해다. 에이콘의 ‘BBC 마이크로컴퓨터’는 1980년대 영국에서 교육용으로 보급된 국민 컴퓨터다. 그러다 1980년대 중반 에이콘은 산업용 컴퓨터 제작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당시 애플컴퓨터(현 애플)와 VLSI테크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