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판매의 신화' 윤석금, 북클럽·렌털 사업으로 재기 노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독서관리 서비스 두 달새 1만5000명 돌파
화장품 방판 조직 늘려 소형가전 렌털 준비
부진했던 태양광사업, 내년 흑자전환 가능성
화장품 방판 조직 늘려 소형가전 렌털 준비
부진했던 태양광사업, 내년 흑자전환 가능성
올해 2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졸업한 웅진그룹이 재도약에 나섰다. 교육에 렌털 개념을 넣은 ‘북클럽’이 가시적 성과를 내기 시작했고, 화장품 사업을 하는 방문판매 조직도 새롭게 꾸리고 있다. 필요한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유상증자도 추진 중이다.
코웨이와 웅진식품 등 주력 계열사를 매각하는 과감한 구조조정으로 1년4개월 만에 법정관리를 졸업한 웅진그룹은 현재 윤석금 회장의 장남 형덕씨와 차남 새봄씨가 각각 신사업추진실장(웅진씽크빅)과 기획조정실장(웅진홀딩스)을 맡아 경영 전면에 나선 상태다.
◆북클럽, 두 달 만에 1만5000명
북클럽은 웅진그룹이 지난 2월 법정관리를 졸업한 뒤 시도하는 가장 큰 규모의 프로젝트다. 여러 권의 책을 시리즈로 묶어 놓은 전집을 월 이용료를 받고 판매하는 방식이다. 출시 두 달 만에 이용자 1만5000명을 모았다.
웅진그룹의 특기인 렌털 개념을 도입한 게 먹혔다. 기존 전집의 판매방식을 바꿔 일정 기간(2~3년) 월 사용료(11만9000원)를 내면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하는 방식이다. 태블릿PC를 ‘북클럽’ 회원들에게 주고 여기에 책을 읽고 싶게 궁금증을 유발하는 독서관리 프로그램을 넣었다. 유민정 웅진씽크빅 차장은 “주기적으로 방문해 직접 독서관리를 해주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웅진씽크빅은 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달 300억원대의 신주 발행(유상증자)을 계획 중이다. 주가가 최근 많이 올라 자금 조달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주식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정현 웅진씽크빅 경영지원실장은 “북클럽은 렌털처럼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지만 한번 깔아 놓으면 안정적으로 사업이 운영되기 때문에 향후 씽크빅의 캐시카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형가전 렌털사업도 준비
웅진홀딩스의 자회사 투투럽은 5월부터 화장품을 수입해 유통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10여곳의 대리점을 통해 피부관리 전문점을 공략 중이며 방문판매도 일부 하고 있다.
웅진그룹은 이 방문판매 조직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코웨이를 매각(2013년 1월)했을 당시 ‘코웨이의 기존 사업에는 5년간 진출해서는 안 된다’는 겸업금지 조항에 묶여 있어 당장 정수기나 공기청정기 사업에 뛰어들 수 없지만, 이 조항이 풀리는 2018년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방문판매 조직을 갖춰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소형 생활가전 렌털 시장에서 웅진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뚜렷이 각인돼 있기 때문에 5년이라는 공백 기간을 충분히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많은 사람이 코웨이를 여전히 웅진코웨이로 인식하고 있다”며 “5년 뒤 정수기 시장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태양광은 턴어라운드 기대
적자가 나고 있는 태양광 사업도 내년에는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신광수 웅진에너지 사장은 “공정 개선과 효율화 작업으로 생산성을 높였고 제품 가격도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웅진에너지는 월 200억원 매출에 10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내고 있다. 조만간 손익분기점은 맞출 수 있다는 게 신 사장의 설명이다.
시설투자에 필요한 자금 일부는 고객사인 미국 선에디슨으로부터 받기로 했다. 웅진에너지는 지난 15일 선에디슨으로부터 1000만달러(약 106억원)의 유상증자를 받는 방안을 진행 중이라고 공시했다. 신 사장은 “고객사를 다변화하기 위해 해외에서 공급계약을 논의하고 있다”며 “태양광 발전에 많은 투자를 하는 일본 쪽에서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코웨이와 웅진식품 등 주력 계열사를 매각하는 과감한 구조조정으로 1년4개월 만에 법정관리를 졸업한 웅진그룹은 현재 윤석금 회장의 장남 형덕씨와 차남 새봄씨가 각각 신사업추진실장(웅진씽크빅)과 기획조정실장(웅진홀딩스)을 맡아 경영 전면에 나선 상태다.
◆북클럽, 두 달 만에 1만5000명
북클럽은 웅진그룹이 지난 2월 법정관리를 졸업한 뒤 시도하는 가장 큰 규모의 프로젝트다. 여러 권의 책을 시리즈로 묶어 놓은 전집을 월 이용료를 받고 판매하는 방식이다. 출시 두 달 만에 이용자 1만5000명을 모았다.
웅진그룹의 특기인 렌털 개념을 도입한 게 먹혔다. 기존 전집의 판매방식을 바꿔 일정 기간(2~3년) 월 사용료(11만9000원)를 내면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이전하는 방식이다. 태블릿PC를 ‘북클럽’ 회원들에게 주고 여기에 책을 읽고 싶게 궁금증을 유발하는 독서관리 프로그램을 넣었다. 유민정 웅진씽크빅 차장은 “주기적으로 방문해 직접 독서관리를 해주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웅진씽크빅은 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달 300억원대의 신주 발행(유상증자)을 계획 중이다. 주가가 최근 많이 올라 자금 조달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주식시장 전문가들의 평가다.
김정현 웅진씽크빅 경영지원실장은 “북클럽은 렌털처럼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지만 한번 깔아 놓으면 안정적으로 사업이 운영되기 때문에 향후 씽크빅의 캐시카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형가전 렌털사업도 준비
웅진홀딩스의 자회사 투투럽은 5월부터 화장품을 수입해 유통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10여곳의 대리점을 통해 피부관리 전문점을 공략 중이며 방문판매도 일부 하고 있다.
웅진그룹은 이 방문판매 조직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코웨이를 매각(2013년 1월)했을 당시 ‘코웨이의 기존 사업에는 5년간 진출해서는 안 된다’는 겸업금지 조항에 묶여 있어 당장 정수기나 공기청정기 사업에 뛰어들 수 없지만, 이 조항이 풀리는 2018년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방문판매 조직을 갖춰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소형 생활가전 렌털 시장에서 웅진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뚜렷이 각인돼 있기 때문에 5년이라는 공백 기간을 충분히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많은 사람이 코웨이를 여전히 웅진코웨이로 인식하고 있다”며 “5년 뒤 정수기 시장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태양광은 턴어라운드 기대
적자가 나고 있는 태양광 사업도 내년에는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신광수 웅진에너지 사장은 “공정 개선과 효율화 작업으로 생산성을 높였고 제품 가격도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웅진에너지는 월 200억원 매출에 10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내고 있다. 조만간 손익분기점은 맞출 수 있다는 게 신 사장의 설명이다.
시설투자에 필요한 자금 일부는 고객사인 미국 선에디슨으로부터 받기로 했다. 웅진에너지는 지난 15일 선에디슨으로부터 1000만달러(약 106억원)의 유상증자를 받는 방안을 진행 중이라고 공시했다. 신 사장은 “고객사를 다변화하기 위해 해외에서 공급계약을 논의하고 있다”며 “태양광 발전에 많은 투자를 하는 일본 쪽에서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