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50주년 경제 대도약 - 5만달러 시대 열자] 열 교환기 만들던 위닉스, 20년 쌓은 차별화된 기술로 제습기 시장 1위 독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이'를 만들어내는 기업들
시장에서 경쟁은 피할 수 없다. ‘어떤 상품이 잘 팔린다’는 소문이 돌면 곧바로 후발 추격자들이 빠르게 몰려드는 게 시장의 생리다. 선발주자냐, 후발주자냐의 구분은 금세 없어진다. 결국 치열한 경쟁에서 어떤 기업이 살아남느냐는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제습기 시장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내 제습기 시장의 최강자는 삼성전자나 LG전자가 아니다. ‘위닉스’라는 중견기업이다. 위닉스는 2011년 이후 3년 연속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고, 지금도 50% 안팎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012년 제습기 판매량이 늘면서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만도 등 이른바 ‘큰 기업’들이 시장에 새로 진입했지만, 위닉스는 여전히 1등이다. 위닉스의 성공 비결은 ‘남들과 차별화된 기술’에 있다. 1973년 문을 연 위닉스는 원래 냉장고와 에어컨에 들어가는 ‘열(熱) 교환기’를 만들던 회사다. 그러다 열 교환기를 이용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제습기 사업에 뛰어들었다. 20년 넘게 열 교환기를 만들면서 쌓은 노하우 덕분에 위닉스 제습기는 습도조절 성능 면에서 경쟁사 제품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장도 마찬가지. ATM은 미국 벤처기업 도큐텔이 1967년에 최초로 개발했다. 그러나 도큐텔은 이 기기를 금고사업자에게만 판매했다. 반면 도큐텔보다 10년 늦게 ATM 기기사업에 진출한 미국 NCR은 ‘ATM 최대 고객은 은행’이란 생각으로 업계 판도를 바꿔버렸다. 그 결과 도큐텔은 ‘사라진 회사’가 됐고 NCR은 세계 최대 ATM 기기 회사가 됐다.
특별취재팀
제습기 시장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내 제습기 시장의 최강자는 삼성전자나 LG전자가 아니다. ‘위닉스’라는 중견기업이다. 위닉스는 2011년 이후 3년 연속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고, 지금도 50% 안팎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012년 제습기 판매량이 늘면서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만도 등 이른바 ‘큰 기업’들이 시장에 새로 진입했지만, 위닉스는 여전히 1등이다. 위닉스의 성공 비결은 ‘남들과 차별화된 기술’에 있다. 1973년 문을 연 위닉스는 원래 냉장고와 에어컨에 들어가는 ‘열(熱) 교환기’를 만들던 회사다. 그러다 열 교환기를 이용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제습기 사업에 뛰어들었다. 20년 넘게 열 교환기를 만들면서 쌓은 노하우 덕분에 위닉스 제습기는 습도조절 성능 면에서 경쟁사 제품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장도 마찬가지. ATM은 미국 벤처기업 도큐텔이 1967년에 최초로 개발했다. 그러나 도큐텔은 이 기기를 금고사업자에게만 판매했다. 반면 도큐텔보다 10년 늦게 ATM 기기사업에 진출한 미국 NCR은 ‘ATM 최대 고객은 은행’이란 생각으로 업계 판도를 바꿔버렸다. 그 결과 도큐텔은 ‘사라진 회사’가 됐고 NCR은 세계 최대 ATM 기기 회사가 됐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