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반 위의 음유시인…"연주·지휘에 五感 입혀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피아노 거장 머레이 페라이어 내달 10~11일 내한 공연
손가락 부상 이젠 말끔히 치유
베토벤·하이든·바흐 교향곡 선사
손가락 부상 이젠 말끔히 치유
베토벤·하이든·바흐 교향곡 선사
“연주할 때 가장 중요한 두 가지가 있어요. 하나는 최대한 표현력 있게 연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관성을 갖고 연주하는 것입니다. 서로 모순적이기도 하죠. 어떤 면에선 반대되는 두 가지 요소를 조화시키며 연주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세계 정상급 피아니스트인 머레이 페라이어(67)는 지난 20일 이메일 인터뷰에서 ‘건반 위의 음유시인’이라는 세간의 평가에 대해 “연주할 때 특별히 서정성이나 감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양한 부분에 신경을 쓴다”며 이같이 말했다. 페라이어는 내달 10~11일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한국 청중과 만난다. 영국 오케스트라 ‘아카데미 오브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ASMF)’와 함께다. 2000년 이 오케스트라의 상임 객원 지휘자로 발탁된 페라이어가 지휘와 연주를 겸한다. 국내에서 페라이어가 협연자로 무대에 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최전성기였던 1990년 악보에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베여 생긴 상처가 손가락뼈 변형으로 이어져 한때 피아노를 칠 수 없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재기에 성공하며 무대로 돌아왔고 2004년 손가락 부상 재발로 또 한 번 위기를 맞았을 때도 대수술 끝에 다시 피아노 앞에 앉았다.
“손가락이 아픈 이유를 찾지 못해 치료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지금은 연주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요. ASMF의 지휘 제안을 받은 것도 그쯤이었어요. 연주를 하지 않고 음악에 몸담을 기회여서 좋았죠. 단, 피아노 연주도 하고 지휘도 같이할 수 있어야만 제의를 받아들여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이번 공연에선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 바흐 건반 협주곡 7번, 하이든 교향곡 77번, 스트라빈스키 ‘덤바턴 오크스’ 등 다양한 곡을 선보인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에 동기를 부여하고 영향력을 미치는 자리입니다. 하지만 실제 연주는 오케스트라의 몫이에요. 그런 면에서 제게 지휘는 피아노 연주보다 조금 더 간접적인 역할이죠.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 건 피아니스트로서의 모습이라고 말하려 했는데 아직도 무대에서 긴장하는 걸 보면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은 것 같네요.”
1972년 제4회 리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등장한 그도 예순을 훌쩍 넘은 나이가 됐다. “세월이 제게서 무얼 빼앗아 갔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에게 음악에 대한 이해력을 가져다준 것 같아요. 음악의 기본인 화성과 대위법을 더 많이 공부할 수 있었고 작품의 구성과 각각의 음정이 갖는 의미 등에 대해 많은 걸 알게 됐죠.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우리의 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작곡가의 감정을 음악이란 언어가 어떻게 전달하는지 이해가 생겼습니다. 세월이 흐르며 예전보다 더 많은 걸 이해하고,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요.” 5만~20만원. 1577-5266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세계 정상급 피아니스트인 머레이 페라이어(67)는 지난 20일 이메일 인터뷰에서 ‘건반 위의 음유시인’이라는 세간의 평가에 대해 “연주할 때 특별히 서정성이나 감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양한 부분에 신경을 쓴다”며 이같이 말했다. 페라이어는 내달 10~11일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한국 청중과 만난다. 영국 오케스트라 ‘아카데미 오브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ASMF)’와 함께다. 2000년 이 오케스트라의 상임 객원 지휘자로 발탁된 페라이어가 지휘와 연주를 겸한다. 국내에서 페라이어가 협연자로 무대에 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최전성기였던 1990년 악보에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베여 생긴 상처가 손가락뼈 변형으로 이어져 한때 피아노를 칠 수 없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재기에 성공하며 무대로 돌아왔고 2004년 손가락 부상 재발로 또 한 번 위기를 맞았을 때도 대수술 끝에 다시 피아노 앞에 앉았다.
“손가락이 아픈 이유를 찾지 못해 치료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지금은 연주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요. ASMF의 지휘 제안을 받은 것도 그쯤이었어요. 연주를 하지 않고 음악에 몸담을 기회여서 좋았죠. 단, 피아노 연주도 하고 지휘도 같이할 수 있어야만 제의를 받아들여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이번 공연에선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 바흐 건반 협주곡 7번, 하이든 교향곡 77번, 스트라빈스키 ‘덤바턴 오크스’ 등 다양한 곡을 선보인다.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에 동기를 부여하고 영향력을 미치는 자리입니다. 하지만 실제 연주는 오케스트라의 몫이에요. 그런 면에서 제게 지휘는 피아노 연주보다 조금 더 간접적인 역할이죠. 가장 편안하게 느껴지는 건 피아니스트로서의 모습이라고 말하려 했는데 아직도 무대에서 긴장하는 걸 보면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은 것 같네요.”
1972년 제4회 리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등장한 그도 예순을 훌쩍 넘은 나이가 됐다. “세월이 제게서 무얼 빼앗아 갔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에게 음악에 대한 이해력을 가져다준 것 같아요. 음악의 기본인 화성과 대위법을 더 많이 공부할 수 있었고 작품의 구성과 각각의 음정이 갖는 의미 등에 대해 많은 걸 알게 됐죠.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우리의 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작곡가의 감정을 음악이란 언어가 어떻게 전달하는지 이해가 생겼습니다. 세월이 흐르며 예전보다 더 많은 걸 이해하고,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요.” 5만~20만원. 1577-5266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