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도약] "내년 하반기 이후 경기 살아날 것" 44%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창간 50주년 - 5만달러 시대 열자
'재정 확대·부동산 규제완화 적절' 평가 압도적
'재정 확대·부동산 규제완화 적절' 평가 압도적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한경밀레니엄포럼 회원과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 50명은 최경환 부총리의 정책 방향과 의지에 대해 후한 점수를 줬다. 한국 경제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하고 있다는 최 부총리의 경기 진단에 대해서도 ‘정확한 진단’(36%), ‘대체로 적절하다’(52%) 등 88%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최 부총리가 보여준 리더십에는 98%가 높이 평가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경기 전망을 묻는 항목에는 신중한 답변이 많았다. 응답자 54%는 ‘2기 경제팀 주도로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느냐’에 대한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응답은 36%에 그쳤다. 경기 회복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해외시장 불확실성(66%) △침체된 소비심리(52%) △부진한 기업 투자(44%) △엔저 등에 노출된 환율(28%) △정쟁 심화 등 국회 비협조(26%) 등을 꼽았다.
경기가 살아나더라도 그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내년 하반기 이후’라는 답변이 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내년 상반기’(36%), ‘잘 모르겠다’(14%), ‘올해 연말’(6%) 순이었다. 최 부총리가 내세운 내년 경상성장률(실질성장률+소비자물가 상승률) 6%대 달성의 가능성을 묻는 항목엔 부정적인 답변이 76%로 압도적이었다. ‘어려운 편’이 48%로 가장 많았고 ‘불가능에 가깝다’는 답변도 28%에 달했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달리 경기 전망이 다소 부정적으로 나온 이유는 주요 정책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비롯한 가계소득 증대 세제개편안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고용 정책은 각각 ‘적절하다’는 평가가 52%에 머물렀다. 가계소득 증대 정책의 경우 26%는 ‘잘 모르겠다’는 유보적인 반응이었고, 22%는 ‘기업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답했다. 고용정책에선 ‘잘 모르겠다’(30%), ‘고용시장 왜곡 초래’(18%)라는 답변이 적지 않았다.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등 부동산 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해선 적절하다는 의견(64%)이 우세했다. 2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16%는 ‘가계부채 급증 등 부작용 우려’라고 답했다.
주요 정책 중에 압도적 지지를 받은 것은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총 41조원을 쏟아붓겠다는 재정 확대정책이었다. 응답자 88%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담뱃값 인상 추진으로 촉발된 증세 논란이나 복지예산을 둘러싼 지방자치단체와의 마찰에 대해선 최경환 경제팀의 현재 방침과 온도차가 있었다. 증세 논란에 대해 전문가 62%는 ‘담뱃값 인상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사실상 증세라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누리과정 예산 관련 논란에 대해선 ‘중앙정부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의견(50%)이 ‘지방정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30%)을 압도했다.
세종=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하지만 경기 전망을 묻는 항목에는 신중한 답변이 많았다. 응답자 54%는 ‘2기 경제팀 주도로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보느냐’에 대한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응답은 36%에 그쳤다. 경기 회복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해외시장 불확실성(66%) △침체된 소비심리(52%) △부진한 기업 투자(44%) △엔저 등에 노출된 환율(28%) △정쟁 심화 등 국회 비협조(26%) 등을 꼽았다.
경기가 살아나더라도 그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내년 하반기 이후’라는 답변이 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내년 상반기’(36%), ‘잘 모르겠다’(14%), ‘올해 연말’(6%) 순이었다. 최 부총리가 내세운 내년 경상성장률(실질성장률+소비자물가 상승률) 6%대 달성의 가능성을 묻는 항목엔 부정적인 답변이 76%로 압도적이었다. ‘어려운 편’이 48%로 가장 많았고 ‘불가능에 가깝다’는 답변도 28%에 달했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달리 경기 전망이 다소 부정적으로 나온 이유는 주요 정책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비롯한 가계소득 증대 세제개편안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고용 정책은 각각 ‘적절하다’는 평가가 52%에 머물렀다. 가계소득 증대 정책의 경우 26%는 ‘잘 모르겠다’는 유보적인 반응이었고, 22%는 ‘기업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답했다. 고용정책에선 ‘잘 모르겠다’(30%), ‘고용시장 왜곡 초래’(18%)라는 답변이 적지 않았다.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등 부동산 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해선 적절하다는 의견(64%)이 우세했다. 2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16%는 ‘가계부채 급증 등 부작용 우려’라고 답했다.
주요 정책 중에 압도적 지지를 받은 것은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총 41조원을 쏟아붓겠다는 재정 확대정책이었다. 응답자 88%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담뱃값 인상 추진으로 촉발된 증세 논란이나 복지예산을 둘러싼 지방자치단체와의 마찰에 대해선 최경환 경제팀의 현재 방침과 온도차가 있었다. 증세 논란에 대해 전문가 62%는 ‘담뱃값 인상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사실상 증세라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누리과정 예산 관련 논란에 대해선 ‘중앙정부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의견(50%)이 ‘지방정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30%)을 압도했다.
세종=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